#1. 아동기의 사회성 발달
아동기에 요구되는 주된 사회성 발달의 이슈는 자아개념과 또래관계이다. 이 두 개념은 아동의 성장발달 및 이후의 청소년기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1) 자아개념
자아개념(自我槪念) 또는 자기 개념(Self-concept)은 사회적인 맥락 속에서 능력, 태도, 느낌을 포함한 자신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 개념을 말한다. 아동기에는 인지능력의 발달로 인해 사회적 활동범위가 확대되면서 아동이 자신을 표현할 때 ' 다른 친구가 나를 좋아해 또는 싫어해'라는 방식으로 자신의 특성을 또래와 비교하여 기술하게 된다. 또한 서로 간의 상반된 감정들을 이해함으로써 현실적이고 균형 잡힌 통합적 개념을 형성하게 되며, 비교적 비판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아동은 다른 사람의 기대를 내면화함에 따라서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이상적 자기(ideal self), 현실적인 자기(real self)를 비교할 수 있고, 다른 사람과 비교하여 자기가 어느 정도 사회적 기준에 도달해 있는지도 이해할 수 있다. 유아기에는 초보적이며 단순한 평가를 통해 자아존중감을 갖게 되지만, 아동기에는 타인과 비교하거나 이상적 자기와 현실적 자기를 비교함으로써 보다 더 자기반성적이고 정확하며 객관적인 자아존중감을 형성하게 된다.
아동기는 자아존중감을 발달시켜 나가는데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자아존중감은 자기가 성취한 결과물이나 일에 대해 자신의 능력을 어떻게 평가하는가에 기초한다. 사회에서 요구되는 과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유능감을 경험하게 되며, 성공적으로 수행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열등감을 경험하게 된다. 자아존중감은 성취동기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스스로 성취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라 할 수 있다. 낮은 자존감으로 인해 상담실에 내원하는 내담아동들의 대부분은 이러한 자기 성취 경험이 매우 부족한 경우가 대다수이다. 부모가 지나치게 염려하고 보호함으로 인해 자녀가 스스로 성취할 수 있는 기회를 제대로 제공해주지 못하였거나, 반대로 자녀에 대해 무관심이나 방임으로 인해 그러한 기회조차 갖지 못한 아동들이 주로 낮은 자존감을 형성하고 있다. 자아존중감이 낮은 아동은 자기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이나 자기 비난 및 낮은 기대감을 갖기 때문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끈기 있게 노력하지 않고 쉽게 포기한다.
2) 또래관계
또래집단은 아동의 사회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회적 유능성의 발달은 또래관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David & Kay, 1984). 아동기의 어린이는 또래와의 상호 만족스러운 관계를 형성하면서 우정을 경험하게 된다. 아동은 친구로부터 기대하는 바가 연령에 따라 변화하게 되는데, Bigelow(1977)는 다음의 세 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첫째, 우정의 보상대가 단계이다. 이 단계의 아동은 이상적인 친구란 유용하고 즐거움을 주는 친구이다.
둘째, 우정의 규범적 간계이다. 이 단계의 아동은 친구 간의 인정이나 칭찬, 성실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친구들은 서로 도와야 하며 자신이 도움을 필요로 할 때는 친구가 도와준다고 생각하게 된다.
셋째, 우정의 감정 이입적 단계이다. 청소년이 이 단계에 해당하는데, 친구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하여 진심으로 걱정하게 된다. 청소년은 친구 간의 상호이해, 자기 노출, 친밀감을 강조한다.
사회적으로 유능한 아동은 원하는 사회적 목표를 얻는데 필요한 기술을 알고 있다. 즉, 친구를 사귀는 법이나, 친구에게 영향을 미치는 방법, 원하는 정보를 알아내는 방법 등을 잘 알고 있다. 또래관계와 관련하여, 사회적으로 유능한 아동은 상호작용을 시작하고 유지하며, 문제를 분석하는 기술에 능숙한다. 또래 사이에서 인기가 많은 아동은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새로운 상호작용을 훨씬 부드럽게 시작하게 된다. 친구들을 새롭게 사귀는데 불편감이 없으며,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다가가며 상호 간의 거리를 조율하는데 능숙한다. 유능한 아동일수록 자신의 친구 사귀는 능력에 대해 확신이 있으며, 새로운 친구를 사귀려 할 때 더 끈기 있게 행동한다.
사회적으로 유능한 아동은 인기가 없는 아동에 비해 상호작용의 관계 유지도 잘하며, 친사회적인 상호작용을 한다(Asher et al., 1982). 인기가 많은 아동은 다른 친구들에게 보상하는데 능숙한데, 친구들에게 더 많이 웃어주고, 주의를 기울여주며, 인정하고, 동조하고, 모방하고, 장난감 등을 공유하며, 활동을 함께 한다. 이러한 자발적 보상행동은 또래관계 형성에 중요한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다른 아동들은 이러한 아동이 더 협조적이고, 상대방의 제안에 더 잘 응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Asher et al., 1982).
또한 여러 사회인지적 기술도 유능성과 관련이 있는데, 인기가 있는 아동은 그렇지 못한 아동에 비해 의사소통을 더 능숙하게 할 수 있다. 이들은 상대방이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며, 말할 내용 중 애매한 부분을 미리 정리하여 조리 있게 이야기한다. 또한 다른 친구들의 말을 잘 경청해 주며, 적절하게 질문하고, 애매한 내요에 대해서는 상대방에게 알려주기도 한다. 인기 있는 아동은 타인의 생각 및 느낌에 대해 더 능숙하게 추측한다. 또한 동류 집단의 지배위계에서 자신과 친구의 위치를 더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어떤 사람의 행동이 바람직하지 않은지에 대해 판단할 때 외적 상이나 벌보다는 타인의 권리 및 복지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상호 존중 원리를 위배하였는지 여부를 더 많이 고려하게 된다.
사회적으로 유능한 아동은 말다툼을 할 때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더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말다툼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아동은 어느 정도의 자기 고집 및 설득력을 가질 뿐 아니라 어떤 활동을 교대로 하거나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 한다.
#2. 사회성 발달의 중요성
상담실에 내원하는 많은 아동의 주된 주호소문제는 자존감 문제와 사회적 관계문제가 많다. 자존감 문제는 부정적인 자기 개념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으며, 또래관계의 사회적 유능성 형성에도 이러한 자기 개념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동이 유아기의 발달과정에서 충분한 자기 탐색과 이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 경험을 하게 된다면, 아동기에 와서는 좀 더 이러한 긍정적 자기를 확장하게 된다. 앞서 자존감에 대해 '스스로' 성취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하였는데, 이러한 자기 목표와 이를 달성하는 경험을 통해 아동은 자신이 유능한 사람이라는 자기 개념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자기 신뢰감과도 연관이 있다.
상담실에 내원하는 사례들 중, 많은 아동들은 학교에서 친구를 잘 사귀지 못해서, 혹은 친구와의 갈등에서 어떻게 해결할지 모르고 우왕좌왕하다 의기소침해지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오는 경우가 있다. 친구를 잘 사귀는 사회적으로 유능한 아동은 자신은 잘할 수 있다는 자기 유능감이 높은 아동들이다. 자기 유능감이 낮은 아동은 할 수 있다는 자신에 대한 신뢰감이 부족하고, 의존적이며, 수동적이다. 부모는 자신의 자녀가 좀 더 자신감 있게 사회적으로 유능한 아동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면, 먼저 자녀가 스스로 해내는 경험을 많이 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비록 그 경험 중에 실패의 경험도 있을지라도 실패했을 때는 독려와 격려를 해주고, 스스로 성취했을 때에는 그 노력에 대해지지를 해주어야 한다.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을 통한 사회적 유능성의 발달은 이후 아동이 성장하여 성인이 되었을 때 사회적으로 훨씬 더 유능한 사람으로 성장발달하게 한다.
'우리아이 왜 그럴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기의 발달심리: 도덕성 발달 (0) | 2023.06.08 |
---|---|
아동기의 발달심리: 정서발달 (0) | 2023.06.07 |
아동기의 발달심리: 신체 및 운동발달, 인지발달 (0) | 2023.06.05 |
유아기의 발달심리: 놀이발달과 정서발달 (1) | 2023.06.04 |
유아기의 발달심리: 사회성 발달 (0) | 2023.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