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26 아이 칭찬하는 방법: 자존감을 올리는 칭찬 #1. 칭찬의 의미 "칭찬"이란 사전적인 의미로는 다른 사람의 좋은 점이나 훌륭한 점을 추켜세워주거나 높이 평가하는 말을 의미한다.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라는 유명한 말이 있듯이 칭찬은 부정적인 영향보다는 긍정적인 영향을 더 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사람들은 서로 좋은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이 칭찬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사람은 칭찬을 받으면 기분이 좋아지기 때문에 쾌락적인 보상을 제공하게 되며, 과학적으로도 칭찬을 받으면 후측 뇌섬엽에 변화가 발생하여 좋은 기분을 형성하게 된다고 한다. 인간관계에서 서로에 대해 칭찬을 하는 것은 긍정적인 관계형성에 도움이 되며,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방법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잘못 사용된 칭찬은 오히려 상대에게 독이 되는 경우도 생긴다. 잘.. 2023. 10. 14. 형제, 자매 갈등 대처하기: 갈등 원인 및 해결방법 #1. 형제, 자매 간 갈등 부모가 아이들을 양육하는 과정에서 흔하게 맞닥뜨리게 되는 장면이 바로 형제들 간의 다툼상황이다. 자녀가 한 명만 있을 때는 이런 문제를 경험하지 못하다가 둘째, 셋째가 태어난 후에는 필연적으로 경험하게 된다. 이럴 때 자칫 부모가 잘못 중재를 하거나 개입을 하게 되면, 영원히 씻을 수 없는 상처들이 남게 된다. 따라서 아이들 간의 갈등상황에 부모는 정말 현명하게 대처할 필요가 있다. 상담실에 가장 많이 찾아오는 사례 중 하나는 오빠가 여동생과 사이가 좋지 않은 경우이다. 첫째인 오빠가 어느 날 갑자기 여동생이 생기게 되고, 호기심 반, 질투심 반으로 행하는 행동들로 인해 부모로부터 잦은 꾸지람을 듣게 되면서, 오빠는 점점 여동생을 미워하게 된다. 예전에 상담했던 한 친구는 초.. 2023. 10. 12. 또래관계의 어려움: 친구 사귀기를 어려워 하는 아이 #1. 또래관계 또래관계의 형성은 학령기 아동의 중요한 과업 중 하나로 이후의 발달과정에서의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주제이다. 또래관계란 자신과 유사한 연령의 아이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는 관계로서 또래의 친구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다양한 대화와 협상, 문제해결 등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을 배워나가게 된다. 유아기까지의 아이는 또래관계보다는 아직은 자기 중심성이 더 많은 시기이다 보니 개인적인 발달에 더 초점이 주어지지만, 아동기에 들어서게 되면, 타인조망이 가능해지고, 인지적인 발달 수준이 향상되면서, 유사한 발달연령의 아이들 속에서 정서적, 사회적인 지지경험과 갈등경험을 하게 된다. 이러한 경험들을 통해 아이는 자기 인식과 자아개념을 발달시켜 나가게 되며, 또래와의 긍정적인.. 2023. 10. 10. 자존감이 낮은 아이: 자녀의 자존감 높이기 #1. 자존감이 낮은 아이 자존감은 자아존중감(自我尊重感)의 줄임말로, 자신의 가치를 인식하고 스스로에 대해 존중하는 마음을 의미한다. 자존감은 자신감과는 다른 의미로 자신감보다 좀 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다. 자신감은 자신에 대한 신뢰감을 의미하지만, 자존감은 자신에 대한 신뢰감뿐 아니라 자신의 가치에 대해 존중하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존감이 높은 아이들은 자신만만할 뿐 만 아니라 실패나 좌절에 대해서도 쉽게 무너지지 않으며, 자신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여 위축되거나 의존적인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자존감이 낮은 아이들은 대체로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개념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자기를 비하하기도 하고 부정적인 자신을 회피하고 싶어 한다. 그래서 실패나 좌절에 취약하.. 2023. 10. 7. 자신감 없는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1. 자신감 없는 아이 상담실에 종종 부모님이 자신의 자녀가 자신감이 너무 없는 것 같아 고민이라고 호소하며 방문하는 경우가 있다. 대체로 자신감이 없는 모습을 처음 발견하게 되는 시기가 대체로 초등학교 입학 후인 경우가 많은데, 유아기에는 별로 자신감 없는 모습이 보이지 않았던 아이가 학교에 입학한 후 점점 자신감이 없는 모습을 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부모는 어떤 모습을 보고 자녀가 자신감이 없다고 판단을 하는 걸까? 자신감이 없는 아이들은 종종 '나는 할 수 없어', '나는 못 해'라고 자신이 어떤 과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호소하게 된다. 학교나 학원에서 제시한 과제들을 마주하고 못한다, 어렵다고 호소하며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면 부모들은 아이가 자신감이 많이 부족하다고 여기게 된다. .. 2023. 10. 4. 학교 부적응의 원인: 근면성과 열등감 #1. 학교 부적응의 원인 학교부적응의 원인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을 하게 된다. 앞선 포스팅에서 아동의 취약한 정서적인 문제에서의 원인을 이야기했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학업성취와 관련된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학교 부적응이란 학교생활에 적응적이지 못한 모습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에 등교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학교 내에서 또래관계를 원활하게 형성하지 못하고, 학습성취에서도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많은 부모들이 아이가 학교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원인 제1순위로 꼽게 되는 이유가 바로 학업 스트레스인데, 왜냐하면 학교에서의 가장 중요한 과업이 바로 학습성취이기 때문이다. 2023.09.23 - [우리 아이 왜 그럴까] - 학교 부적응의 원인: 좌절에 취약한 아이들 학교 부적응의 원.. 2023. 9. 26.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