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 아이 심리 발달 이야기
반응형

전체 글126

수줍음이 많은 아이: 특징과 대처방법 #1. 수줍음에 대해 '수줍어한다'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부끄러움이 많고 내성적이며, 낯가림이 있는 모습을 의미한다. 그래서 우리는 부끄러움이 많은 아이들을 보모 수줍음이 많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상담실에 방문하는 수줍음이 많은 아이들은 낯선 상담사를 보고 엄마뒤에 숨거나 나갈 때도 인사하기를 어려워하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많은 부모들은 아이가 수줍어하는 모습을 보며 자라서 사회성이 부족해질까, 친구를 사귀지 못하게 될까, 염려하는 부분들이 많이 생기게 된다. 수줍음은 기질인가? 성격인가? 대체로 수줍음은 '기질'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자극에 대한 추구가 낮고, 위험에 대한 회피지수가 높은 경우, 이런 아이는 낯선 것들, 낯선 사람, 낯선 환경에 대해 불편감을 느끼게 되고 회피하고자 하는 기제가 .. 2023. 8. 6.
거짓말 하는 아이: 거짓말의 이유, 대처방법 #1. 거짓말의 심리 모든 아이들은 진실만 이야기할까? 흔히들 아이들은 맑고 순수하여 거짓을 말하지 않는다고들 한다. 정말 그럴까? 부모들은 너무나도 어린 내 아이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때로는 거짓을 말하기도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 다소 놀라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누구나 살면서 거짓말을 하게 된다. 세상에 태어나서 단 한 번도 거짓말을 해본 적이 없다고 한다면, 바로 그 말이 거짓일 것이다. 사람들은 왜 거짓말을 하게 될까? 거짓말을 하게 되는 이유는 사람마다 다 다르겠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거짓말을 하게 된다. 첫째,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거짓말을 한다. 둘째, 나에게 더 유리한 이익이 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거짓말을 한다. 셋째, 누군가를 보.. 2023. 8. 3.
폭력적인 아이들: 폭력성의 이유, 대처방법 #1. 아동의 폭력성 폭력적인 아이들은 주변에 상당한 위해를 가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아이로 불리어진다. 아이들의 폭력적인 모습들은 또래관계에서 멀어지게 하고, 부모 및 교사, 어른들로부터 비난을 받게 한다. 이러한 경험들은 폭력적인 아이들을 더욱더 폭력적이게 만들기도 한다. 최근 아동의 극심한 폭력성으로 인한 사고와 사회적 문제가 발생함으로 인해, 아이들의 공격성을 넘어 폭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아이들은 어쩌다가 그렇게 폭력적인 아이가 되어버렸을까? 아동의 폭력성은 단순히 아이 한 사람에게만 책임을 물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아동의 폭력성 뒤에는 아동이 자신의 공격성을 폭력적인 행동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방임한 부모의 책임도 있다. 또한 사회적으로 아동의 폭력성을 단순히 어린아이의 .. 2023. 8. 1.
아동기 트라우마: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원인, 진단기준과 대처방법 #1. 트라우마(Trauma) 트라우마란, 상처라는 뜻의 고대 그리스어 τραῦμα(트라우마)에서 유래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심리적 외상(psychological trauma)을 의미한다. 트라우마는 사람이 자신의 대처능력을 초과하는 압도적 사건이나 경험으로 인해 나타나는 심리적, 정서적 반응을 말한다. 자연재해, 심각한 사고경험, 폭행, 중대한 사건의 목격 등 우리가 일반적으로 흔히 겪는 사건이 아닌 심각한 정서적 충격으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트라우마의 대표적 증상은 사건을 재 경험한다는 것이다. 경험하고 싶지 않은 충격적 사건을 반복적으로 재 경험하게 됨으로써 당시의 느낌, 기억, 악몽등을 다시 떠올리게 되고, 이로 인한 정신적, 육체적 고통을 지속적으로 경험하게 된다. 또 다른 증상으로는 회피가 .. 2023. 7. 31.
보건복지부: 임신, 출산 의료비 지원 바우처 확대 23년 7월 27일.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난임·다둥이 맞춤형 지원대책」을 마련하고 발표하였다. 난임 및 다둥이자녀를 둔 부모들과 지난 5월에 간담회 등을 가진 후 그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정책대안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이번 대책은 결혼 연령이 늦어지면서 난임 인구가 증가하게 되고, 난임시술로 인한 쌍둥이 및 다둥이 출산이 증가하게 된 상황에서 임신 및 출산을 희망하는 부부에게 임신과 출산 전 과정에 대한 지원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임신·출산 의료비 바우처 지원을 늘려, 태아 한 명을 임신한 경우에 100만 원, 다둥이의 경우 일괄적으로 140만 원을 지급하였으나, 다둥이 임신의 경우 의료비의 지출이 늘어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태아 당 100만 원씩 바우처 지원액을 확대하려 한다. 임신기.. 2023. 7. 30.
아동의 강박장애: 원인과 대처방법 #1. 강박장애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는 주로 아동기 혹은 청소년기 초기에 시작되는 장애이다. 강박장애는 아동, 청소년에게는 유의미한 기능손상을 유발하며, 성인의 경우에는 가장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장애 중 하나이다. 강박장애는 반복적인 생각과 행동으로 특징되는 정신과적 상태를 나타내는데(Cohen, Simeon, Hollander, & Stein, 1977), 강박장애의 범주의 증상들이 강박장애와 현상학적 특성과 동반이환, 가족 및 유전적 특징, 뇌의 회로 치료에 대한 반응적 측면에서 잠재적인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Bienvenu et al., 2012). 과학적인 검증이 이루어지기 이전 시대에는 강박적인 사고를 일탈적 종교 경험인.. 2023. 7.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