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26 아동의 우울: 우울의 원인과 증상, 대처방법 #1. 아동기의 우울 일반적으로 성인기의 우울은 무기력한 모습과 공허함, 감정의 메마름, 식욕부진등의 모습을 나타낸다. 우울한 사람은 모든 일에 시큰둥하게 되며, 짜증을 잘 내게 되고, 만사 다 귀찮아서 아무것도 하고 싶어 하지 않게 된다. 아이들의 우울은 어떤 모습일까? 상담실에 방문하는 아이들 중, 부모가 자신의 자녀가 우울하다는 것을 알아채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왜 그럴까? 먼저, 부모는 자신의 아이가 우울할 것이라고 전혀 예측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다음으로는 우울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다 보니, 아동의 행동을 우울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생각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A는 누가 건드리기만 해도 쉽게 흥분하고 분노를 참지 못한다. 화가 나면 수업시간에도 물건을 던지거나 소리를 질러서 수업을 방.. 2023. 7. 26. 예민한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1. '예민한 아이'에 대하여 부모가 양육을 할 때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유형의 자녀가 바로 까다롭고 예민한 아이들이다. 예민한 아이들은 감정이 시시각각으로 변하고 호불호가 강하며, 자기가 무엇을 원하는지 조차 모를 때가 많아, 아이의 기분을 맞춰준다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무엇이 아이들을 이렇게 예민하게 만드는 걸까? 아이의 예민함은 부정적이기만 한 걸까? 아이들이 예민해지는 원인은 복합적이고 여러 가지로 나누어 한 가지를 집어서 말할 수는 없다. 하지만, 어떤 원인에서의 예민함이든 부모가 적절히 대처를 한다면 충분히 아이들의 예민함을 순기능으로 변화시켜 줄 수 있다. #2. 아이가 예민해지는 이유 1) 기질의 문제 타고난 기질적으로 예민한 아이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위험회피 수준이 높고,.. 2023. 7. 24. 품행장애: 진단 과 요인, 치료 #1. 품행장애의 이해 품행장애(Conduct disorder, CD)는 적대적 반항장애와 함께 아동,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품행과 관련된 문제행동을 일으키는 장애이다. 아동기 후기와 청소년기에 여러 폭력적이고 공격적인 행동으로 인해 정신과에 의뢰되는 경우 40% 정도가 품행장애로 진단을 받을 정도로 흔한 장애라 할 수 있다. 이렇게 비율이 높은 이유는 품행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동 및 청소년들의 문제가 주변에 상당한 파괴적인 영향력을 주고 있기 때문에 의뢰되는 비율이 많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품행장애는 매우 위협적이고, 사회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장애이기도 하다. 최근 학생이 교사를 폭행하는 사건으로 대한민국이 시끄러웠었는데, 자신의 분노를 강력한 폭력으로 행사하는 모습이 바로 .. 2023. 7. 23. 부모에게 보이는 자녀의 공격성 #1. 자녀의 공격적인 태도의 이해 가끔 상담실에 자녀의 공격성 때문에 방문하는 사례를 만나다 보면 자녀가 부모에게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에 대해 부모가 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공격성이라는 개념에 대해 대체적으로 공격행위를 구체적으로 행사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위협을 가할 때 이를 공격으로 인지하게 되기 때문에, 그런 형태의 공격이 아닌 경우에는 그것이 공격행위라는 인식조차 가지지 못하는 것이다. 그래서 부모상담 시 그것이 부모에 대한 공격행동이라는 것을 알려주면 많은 부모들은 적잖이 충격을 받곤 한다. 아이의 행동이 부모에게 공격을 하는 것이라고 인식하지 못하다 보니 그 행동에 대한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러므로 인해 자녀의 공격성은 더욱 강화되는 것이다. 따라서 .. 2023. 7. 21. 적대적 반항장애: 진단, 원인, 그리고 치료 #1. 적대적 반항장애 적대적 반항장애(oppositional defiant disorder, ODD)는 품행장애와 더불어 아동 및 청소년기의 정신건강문제에서 가장 많이 대두되는 장애 중 하나이다. 적대적 반항장애는 발현되는 증상이 매우 위협적이고 파괴적인 데다 부모를 비롯한 주변인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히게 됨으로써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는 경우가 많다. 적대적 반항장애는 증상이 발견되고 진단을 받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 청소년기이지만, 전조증상은 이미 아동기 때부터 나타나게 된다. A. 분노/과민한 기분, 논쟁적/반항적 행동, 또는 보복적 특성이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되고 아래 범주에서 적어도 네 가지 증상이 나타나야 하며, 적어도 형제가 아닌 다른 한 사람과의 상호작용 동안에 나타나야 한다. 분노/과.. 2023. 7. 19. 아동의 공격성: 이해와 접근 #1. 공격성의 정의 공격성이란, 타인에게 신체적 혹은 언어적인 폭력을 행사하거나 위협을 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공격성은 직접적으로 위협적인 행위가 나타나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며, 이로 인해 공격성을 나타내는 자신도 부정적인 피드백 경험을 초래하게 된다. 공격성은 외현적인 표현으로 나타나며, 열정이나 용기, 자신감 등 긍정적인 단어와도 연관성이 있다. 하지만 대부분 공격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느낌보다는 부정적인 느낌으로 받아들이게 된다. 보통 공격성은 아동기에 접어들면서 나타나게 되며, 청소년기와 청년기에 가장 높게 표현된다. 하지만 연령이 증가하고 노년기로 넘어갈수록 공격성은 다소 낮아지거나 수동적인 표현으로 변화하게 된다. 공격성은 일반적으로 분노정서.. 2023. 7. 18.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