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 아이 심리 발달 이야기
반응형

전체 글125

아이의 문제행동, 무엇을 먼저 고려해야 할까? 우리 아이 문제행동, 무엇을 먼저 고려해야 할까? 자녀가 부적응적인 행동들을 할 때, 많은 부모들은 아이의 문제행동의 원인을 찾으려고 노력하게 된다. 아이가 혹시 성격에 문제가 있는지, 부모의 양육태도에 문제가 있는지, 아니면 학교에서 무슨 어려움이 발생한 것은 아닌지 등등 여러 추측과 가설들을 세우며 아이의 행동을 고쳐주려 애를 쓰게 된다. 하지만, 이런저런 원인을 생각해 보고 방법을 사용해 보지만 잘 해결되지 않을 때, 부모들은 결국 상담센터를 방문하게 된다. 아이들이 보이는 문제행동 혹은 부적응행동들은 단순히 한두 가지의 원인으로 설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대체로 많은 부분들은 상당히 오랜 시간 축적된 문제들과 어려움들이 더 이상 억누를 수 없는 상태에 이르러 촉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2024. 5. 22.
완벽주의 성향의 아이: 특징과 대처방법 완벽주의 성향의 아이 여러 기질 중에서도 상담현장에서 가장 많이 만나게 되는 유형의 아동은 바로 완벽주의 성향의 아이들이다. 완벽주의성향의 아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기질적으로 완벽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아이가 가지고 있는 완벽주의 성향으로 인해 성장과정에서 많은 부딪힘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다 보니 정서 및 사회발달에 부정적인 경험을 하게 되고, 이는 이후의 아동기에 영향을 줌으로써 낮은 자존감과 우울감, 불안을 형성하게 한다. 1. 완벽주의 완벽주의(perfectionism)는 완벽한 사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을 말한다. 가끔 상담과정에서 보호자에게 자녀의 완벽주의 성향에 대해 이야기하면, 자신의 자녀가 별로 완벽하지 않다고 반응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완벽주.. 2024. 5. 11.
아동의 트라우마: 원인과 대처방법 아동의 트라우마 어떤 충격적인 경험으로 인해 형성된 트라우마는 일상생활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됨으로써 우리의 삶을 힘들게 만드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트라우마가 형성이 되면, 심리적인 문제도 발생하게 되지만, 행동상에서도 상당한 문제를 유발하게 되면서, 주변과의 관계를 피폐하게 만들기도 한다. 성인기에 형성된 트라우마도 매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지만, 아동기에 형성된 트라우마는 이후의 전생애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더욱 심각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아동기에 경험되는 트라우마들은 대체로 가장 가까운 가족, 혹은 부모로부터 경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애착과 관련된 문제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트라우마의 영향력도 강력할 뿐 아니라, 예후도 별로 좋지 않은 편이다.. 2024. 4. 26.
아이의 산만함: 원인과 대처방법 산만한 아이 아이들의 산만함은 여러 장면에서 발견하게 된다. 학교 수업 시간, 교사의 수업진행에 집중하지 못하고 딴짓을 하고 있거나, 심하면 수업과 상관없이 행동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가정에서 부모가 공부를 시키려 할 때, 학습에 집중하지 못하고 여기저기 주변을 신경 쓰거나, 과제와는 상관없는 일들을 하기도 한다. 대체로 부모는 아이가 산만한 모습을 나타낼 때, 이를 부정적으로 바라보게 되며, 따라서 싫은 소리를 하게 된다. 상담실에 아이의 산만함으로 인해 상담을 의뢰하는 경우, 많은 부모들은 자신의 아이가 혹시 ADHD가 아닌지 의심을 하게 된다. 하지만 상담실에 산만함으로 내원한 아이들의 많은 경우, ADHD 문제보다는 다른 요인으로 인한 산만함을 보이는 경우가 사실 더 많다. 1. 산만함의 원.. 2024. 4. 18.
말수가 갑자기 적어진 아이, 왜 그런걸까? 자녀의 말수가 갑자기 적어졌다면? 어느 날부턴가 아이의 말수가 적어지고, 활동량도 줄며, 혼자 있기를 원하고 자주 짜증을 내는 일이 많아지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아주 민감한 부모가 아니라면 이를 처음에 바로 알아차리게 되지 않는데, 어느 날 문득 이러한 모습의 자녀를 발견했을 때는 이미 아이의 상태는 심각해진 상태일 경우가 많다. 상담실에 방문하는 아동들 중 이러한 증상을 보이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되는데, 대체로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모습이다. 작년까지는, 지난달 까지는 그래도 잘 웃고 부모님과도 곧잘 대화도 하고 명랑하던 아이가 갑자기 마음의 동굴로 들어가게 된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1. 말수가 적어진 이유 아이의 말수가 적어진 이유에는 여러 가지 원인들이 있겠지만, 대체로 심리적인 .. 2024. 4. 12.
아동의 판타지적 사고: 상상과 거짓말의 경계 아동의 판타지 사고 가끔 상담실에 방문하는 부모님들 중 아이가 가끔 거짓말을 하는 것 같다며 고민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아이가 경험하지도 않은 일을 마치 경험한 것처럼 이야기를 한다는 것이다. 가본 적이 없는 장소를 가봤다고 말을 하거나, 한 적이 없는 경험을 해봤다고 한다는 것이다. 꿈을 꾼 것과 현실을 착각하는 것인지, 아니면 욕구불만으로 그러는 것인지 궁금해하기도 한다. 대체로 유, 아동기의 아이들에게 종종 볼 수 있는 이러한 상상과 현실의 경계가 모호한 이야기들을 우리는 어떻게 바라봐야 하고 이해해야 할까? 1. 판타지 사고의 특징 판타지 사고는 마치 사실적으로 경험되듯이 사고하게 되는 상상적인 사고로 대체로 만 3세 이후의 어린이들에게서 볼 수 있다. 판타지 사고는 대체로 현실을 기반으로 .. 2024. 3.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