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 아이 심리 발달 이야기
반응형

우리아이 왜 그럴까100

늘 지루해 하는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늘 지루해하는 아이, 왜 그럴까? 요즘 상담실에 방문하는 많은 아동, 청소년들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말 중 하나가 바로 '지루해요, 심심해요'이다. 아무것도 안 하고 무료하게 있다면 지루하고 심심해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 무엇인가를 하고 있음에도 아이들은 지루해하고 심심해한다. 공부를 하고 있어도 지루하다고 하고, 게임을 하고 있음에도 심심하다고 하다. 우리 아이들은 무엇 때문에 이렇게 늘 지루하고 심심해하는 것일까? 이유를 알기 위해 우리는 먼저 '지루함, 심심함'에 대해 먼저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1. '지루함, 심심함'의 의미'지루하다, 심심하다'는 우리 뇌가 자극이 부족하다는 신호를 의미한다. 뇌의 보상 시스템과 관련이 있는 도파민이 부족할 때, 우리 뇌는 흥미를 잃고 지루함을.. 2024. 10. 29.
매사 귀찮아 하는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매사 귀찮아하는 아이 가끔 상담실에 방문하는 내담아동들 중, 매사 의욕이 없고 귀찮음이 많은 아동들이 있다. 이러한 아동들은 어떤 것들에 흥미를 잘 느끼지 못하며, 어떤 일에도 적극적이지 않고 귀찮아한다. 집에 가만히 있는 것을 좋아하고, 어딘가를 가고자 하면 귀찮아하며 가고 싶어 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활동들에 대해 별로 재미를 못 느끼며, 사람들과의 접촉도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다. 이런 자녀의 모습에 많은 부모들은 답답해하며, 혹시 아이가 우울한 것은 아닌지, 심리적으로 어떤 문제가 발생한 것인지 궁금해하며 상담실에 방문하곤 한다. 항상 모든 일에 "귀찮아"를 입에 달고 사는 아이들, 도대체 왜 그런 걸까? 1. 의욕이 없고 귀찮아하는 이유  성취감 경험이 부족한 아이 성장과정에서 성취감 경험이 부족.. 2024. 9. 3.
인정받고 싶은 아이: 인정욕구 인정받고 싶은 아이: 인정욕구 1. 아동의 인정욕구 인정욕구는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욕구 중 하나이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받고 싶고, 존중받고 싶은 마음으로, 이는 단순히 칭찬이나 격려를 넘어서 자존감 형성과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며 개인의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아동의 인정욕구는 성장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아성장 및 사회성 및 학습동기 부여에 영향을 준다.  아동의 인정욕구는 유아기에는 부모로부터 인정받기를 원하며, 아동기에는 또래로부터, 청소년기에는 사회전반으로 인정을 받기를 원한다. 아동이 인정받고 싶어 하는 욕구는 당연한 모습이지만, 자칫 지나친 인정욕구는 자신을 비롯한 주변에 상당한 부적응적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적절한 인정욕구의 충족은 아동의 긍정적 자아상을 형성하.. 2024. 6. 18.
아동의 욕구: 힘(power)에 대한 판타지 아동의 욕구: 힘에 대한 판타지 자녀를 양육하다 보면 어느 특정시기에 들어서게 되면 보이는 특징적인 모습들이 있다. 즉, 애니메이션이나 영화, 만화 및 게임 등에서 힘이 세고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는 히어로들에 대한 탐구와 추구가 갑자기 증가하는 시기가 있다. 남자아이들은 영웅이나 무사, 용사 등 힘이 강하고 멋진 슈트나 포즈를 취하는 능력자 캐릭터들에 열광하고, 여자 아이들은 변신을 하고 마법을 부리는 샤방샤방한 공주 캐릭터들에 열광하게 된다. 이러한 캐릭터들에 열광하게 되고 몰입하게 되는 아이들은 너무 과몰입하여 마치 자신이 그 캐릭터인 양 무모한 행동을 하기도 하고, 어려운 일에 도전하려고 하여 부모를 놀라게 만들기도 한다. 1. 유아기의 힘에 대한 판타지 대체로 아이들이 자아개념이 발달하게 되고, .. 2024. 5. 30.
아이의 문제행동, 무엇을 먼저 고려해야 할까? 우리 아이 문제행동, 무엇을 먼저 고려해야 할까? 자녀가 부적응적인 행동들을 할 때, 많은 부모들은 아이의 문제행동의 원인을 찾으려고 노력하게 된다. 아이가 혹시 성격에 문제가 있는지, 부모의 양육태도에 문제가 있는지, 아니면 학교에서 무슨 어려움이 발생한 것은 아닌지 등등 여러 추측과 가설들을 세우며 아이의 행동을 고쳐주려 애를 쓰게 된다. 하지만, 이런저런 원인을 생각해 보고 방법을 사용해 보지만 잘 해결되지 않을 때, 부모들은 결국 상담센터를 방문하게 된다. 아이들이 보이는 문제행동 혹은 부적응행동들은 단순히 한두 가지의 원인으로 설명하기 어려울 수 있다. 대체로 많은 부분들은 상당히 오랜 시간 축적된 문제들과 어려움들이 더 이상 억누를 수 없는 상태에 이르러 촉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2024. 5. 22.
완벽주의 성향의 아이: 특징과 대처방법 완벽주의 성향의 아이 여러 기질 중에서도 상담현장에서 가장 많이 만나게 되는 유형의 아동은 바로 완벽주의 성향의 아이들이다. 완벽주의성향의 아이들은 태어날 때부터 기질적으로 완벽주의적인 성향을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에, 아이가 가지고 있는 완벽주의 성향으로 인해 성장과정에서 많은 부딪힘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다 보니 정서 및 사회발달에 부정적인 경험을 하게 되고, 이는 이후의 아동기에 영향을 줌으로써 낮은 자존감과 우울감, 불안을 형성하게 한다. 1. 완벽주의 완벽주의(perfectionism)는 완벽한 사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완벽함을 추구하는 것을 말한다. 가끔 상담과정에서 보호자에게 자녀의 완벽주의 성향에 대해 이야기하면, 자신의 자녀가 별로 완벽하지 않다고 반응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완벽주.. 2024. 5.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