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 아이 심리 발달 이야기
반응형

우리아이 왜 그럴까100

아이는 왜 "몰라요" 라고 말할까?: 회피형 아이 회피형 표현을 사용하는 아이 학교에서 돌아온 자녀에게 "오늘 학교 어땠니?"라고 물으면 "몰라" "생각 안 나"라고 말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래서 상담실에 내원하는 부모들 중 이러한 문제로 고민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우리 아이는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말하지 않아요.', '뭘 물어보면 항상 모른다고만 해요'. 제대로 정확히 대답하지 않고 늘 모른다거나 생각이 나지 않는다고 대답을 하는 것을 '회피형 표현'이라고 이야기한다. 아이들이 회피형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여러 원인들이 있을 수 있는데, 심리적인 문제가 있을 수도 있고, 인지적인 문제가 있을 수도 있으며, 환경적인 원인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우리 아이가 자주 회피형 표현을 사용한다면 원인이 무엇인지를 잘 살펴보고 대처하는 것이 .. 2024. 2. 16.
새 학기를 두려워하는 아이 새 학기를 두려워하는 아이 새 학기, 특히 한 학년이 올라가는 3월 학기를 앞두고 있는 아이들 중에는 유독 긴장하고 두려워하는 아이들이 있다. 대부분의 이러한 아이들은 학교생활에 적응적이지 못한 모습을 보였던 적이 있으며, 이전 학기에 또래관계가 원활하지 못했거나 혹은 학교 가는 것에 대해 불편감을 느끼고 부정적인 느낌을 형성한 아이들이 많다. 평소에 긴장을 많이 하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아이들은 새로운 학기에 새로운 교실에서 새로운 친구들과 선생님을 만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게 된다. 때문에 학기가 시작하기 전부터 많은 부모들은 아이가 새로운 학기에 잘 적응하기를 바라며 이런저런 좋은 이야기도 해주고 대비를 하게 된다. 1. 새 학기를 두려워하는 아이의 증상 새 학기를 두려워하.. 2024. 2. 13.
가족 안에서 자녀의 위치: 가족과 자녀의 관계 가족과 자녀 "가족(Family)"이란 무엇인가? 가족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부부를 중심으로 하여 그로부터 생겨난 아들, 딸, 손자, 손녀 등으로 구성된 집단, 또는 그 구성원을 말하며, 혼인이나 혈연, 입양등으로 이루어지며 대체로 한 집에서 생활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법률적으로는 동일한 가족관계 등록부에 기재되어 있는 친족을 말한다. 즉, 가족은 함께 생활하는 혈연 등으로 이루어진 집단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전통적으로 '가족'이라는 의미를 부여하며 가지고 있는 이미지는 부모와 자녀, 적어도 3, 4명 이상의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이미지를 떠올리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범주를 벗어난 형태의 가족의 구조에 대해서는 전통적인 시각에서는 다소 불편한 시선으로 바라보게 된다. 하지만 오늘날.. 2024. 2. 12.
부모의 단호함: 자녀의 잘못에 대처하는 부모의 자세 부모의 단호함: 자녀의 잘못된 행동에 대처하는 자세 가끔 상담 현장에서 만나게 되는 부모와 내담 아동들 중에는 부모가 자녀의 잘못된 행동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함으로 인해 자녀의 잘못된 행동을 방치하게 되는 경우를 보게 된다. 아이가 때를 부리고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굶에도 불구하고 부모가 단호하게 이를 제지하지 못하고, 오히려 아이의 감정에 휘말려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며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부모가 자녀의 잘못에 대해 명확하게 알려주지 못한다면, 아이는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그리고 잘못에 대해 어떻게 시인하고, 어떤 방법으로 이를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지 못한 채 조절되지 않은 감정체계를 형성하게 된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지 못하고, 행동을 조절하지 못한.. 2024. 2. 1.
자녀의 또래관계: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 내 아이의 또래관계,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 가끔 상담과정에서 부모들이 자녀의 친구관계 때문에 고민을 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내 아이가 좋은 친구를 사귀기를 바라는 마음은 어느 부모나 마찬가지일 것이다. 자녀가 학교에서 사귄 친구가 부모가 보기에 모범적이고, 공부도 잘하고, 성실하고, 말도 잘 듣는 착한 친구였으면 좋겠는데, 내 아이가 사귀고 있는 친구가 부모의 기준에 부합되지 못할 때에는 조심스럽게 그 친구와 사귀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을 내비치게 되기도 한다. 그 친구와 놀지 말라고 했으면 좋겠는데... 어떻게 말해야 할까요? 부모가 보기에 좋은 친구로서 적절하지 않고, 내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 같이 느껴지면, 이런 고민을 하게 되고, 종종 상담할 때 이 질문을 하는 경우를 만나게 .. 2024. 1. 10.
질투가 많은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1. 질투가 많은 아이 유달리 질투가 많은 아이들이 있다. 부모가 조금만 자신보다 다른 형제를 위하는 듯 보이면 화를 내며 질투를 하기도 하고, 친구가 선생님으로부터 칭찬을 받으면, 이를 시기하고 질투하기도 한다.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우리의 옛 속담처럼 질투가 많은 아이들은 나보다 남이 잘 되는 모습을 보면 질투가 나고 짜증을 내기도 한다. 질투가 많은 아이들을 보면 이기적인 것처럼 보이고, 자기만 아는 것처럼 보여서 부모가 이를 걱정하게 만든다. 그래서 질투가 많은 아이는 심각한 자기중심적인 모습을 나타낸다. 또한 질투가 많은 아이들은 부정적인 정서표출이 많고, 타인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기보다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그러다 보니 또래관계 역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 2023. 12. 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