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아이 왜 그럴까100 자녀의 이중생활: 부모가 알고 있는 자녀, 부모가 모르는 자녀 #1. 부모가 알고 있는 아이, 부모가 모르는 아이 자녀는 부모가 낳고 기르고 양육하였으며, 항상 세심하게 살피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누구보다도 나의 자녀에 대해 가장 많이 이해하고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바로 부모일 것이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신들보다 자신들의 아이를 아는 사람을 없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어느 날 학교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거나, 혹은 학원이나, 이웃에 의해 이야기를 듣게 되면서 그 믿음에 금이 가기 시작한다. 과연 내가 알고 있던 내 아이가 맞나? 가끔 상담실에 자녀를 데리고 상담을 받으러 오는 부모님들 중 자신들의 자녀가 그럴 줄 몰랐다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자신들의 알던 자녀의 모습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집에서 너무나도 조용하고 부모에게 순종하.. 2023. 12. 28. 부모의 갈등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부모의 갈등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1. 부모자녀 관계 인간은 태어나게 되면 자연스럽게 형성하게 되는 첫 번째 관계가 바로 부모와 자녀의 관계이다. 부모는 아이를 출산하게 되면 자녀라는 존재를 만나게 되고, 이제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부모라는 경험을 하게 된다. 그리고 아이는 세상에 태어나서 자신을 보듬어 안아주는 첫 존재인 부모를 만나게 된다. 이렇게 부모와 자녀는 인생의 첫 관계를 형성하게 되고, 이 관계는 평생을 가게 된다.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는 "애착"이라는 관계경험을 통해 서로 신뢰감을 형성하게 되고, 더욱 끈끈한 유대를 형성하게 된다. 아이는 세상에 나와 처음 자신을 먹여주고 보살펴주는, 자신의 생사를 좌지우지하게 되는 부모를 만남으로 인해, 부모라는 존재는 생존과 직결된 존재이며 자신의 .. 2023. 12. 21. 긴장하는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1. 자주 긴장하는 아이 어떤 일들을 앞에 두고 긴장을 하게 되는 것은 인간이라면 자연스러운 현상 중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이 긴장이 지나쳐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면, 이는 결코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될 증상이 된다.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 긴장한 나머지 실수를 하게 된다거나,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긴장을 하게 돼서 원활한 관계형성을 이루지 못할 수도 있다. 자주 긴장하는 아이들은 낯선 사람을 만나면 긴장을 하여 엄마의 뒤에 숨거나 얼굴을 돌리는 경우도 있고, 잘 모르는 문제를 만나면 긴장한 나머지 문제를 회피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새로운 환경에 긴장을 하여 만약 이사라도 하게 되면, 새로운 집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불안해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여러 상황에서 긴장하는 자녀들은 긴장 .. 2023. 12. 12. 충동적인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1. 충동적인 아이 순간적인 충동성으로 인해 좌충우돌하는 아이들이 있다. 충동적인 아이들은 순간을 참지 못하고 뭔가 일을 저지르곤 한다. 엄마가 잠깐 기다리라고 했는데, 그새를 못 참고 물건을 꺼내다가 우르르 쏟아버리거나, 앞 뒤 안 가리고 먼저 다가갔다가 위험에 맞닥뜨리게 되기도 한다. 충동적인 모습 때문에 아이는 매우 산만한 모습으로 보이고, 단체생활에서 또래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리고 충동적인 아이들은 실수가 많다 보니 교사의 지적을 받게 되는 경우고 많다. 그래서 충동적인 아이들은 대체로 자존감이 낮은 모습을 보이며, 또한 잦은 갈등경험으로 인하여 주변에 대한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충동적인 문제로 인해 상담실을 찾는 경우, 많은 부모들은 혹시 아이가 .. 2023. 11. 30. 자녀 스마트폰 교육: 스마트폰 중독, SNS 교육, 사이버 폭력 이해 내 자녀 스마트폰 사용 교육 스마트폰은 이제 우리 삶에서는 떼어놓을 수 없는 필수품목이 되었으며, 우리 생활의 대부분을 지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연령도 점점 낮아져 지금은 유아기부터 스마트폰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모습을 주변에서 쉽게 발견하게 된다. 때로는 아이들의 스마트폰 사용기술이 부모를 능가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부모가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을 훈육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기도 한다. 때문에, 최근 들어 아동 및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많은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중독증상뿐만 아니라 사이버와 관련된 폭력문제도 점점 심각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아이들은 스마트폰을 다양하게 사용하게 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분이 바로 SNS이다. 아이들은 주로 친구들.. 2023. 11. 26. 자기 원칙이 많은 아이의 원인, 대처방법 #1. 자기 원칙이 많은 아이 '반드시 ~ 해야만 해', '꼭 ~여야만 해' 등 자기만의 원칙이 강한 아이들이 있다. 이러한 아이들은 처음에는 한 두 개의 원칙에서 시작해서 그 원칙이 점점 늘어나서, 안 되는 것들이 점점 많아지게 된다. 아이들이 자신의 행동이나 말을 조절하고 상호작용에서의 규칙을 가지는 것은 결코 나쁜 것은 아니다. 이는 아이로 하여금 사회적 관계에서 좀 더 합리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게끔 만들어 주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자기 원칙이 지나치게 많아지고, 이것이 아이를 옥좨는 쇠사슬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면, 아이는 틀에 갇혀서 융통성이 없고 완고한 사람이 되어버리게 된다. 시간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해요! 시간을 잘 지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시간을 잘 지키는 사람은 주변 사람.. 2023. 11. 16. 이전 1 2 3 4 5 6 7 8 ···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