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 아이 심리 발달 이야기
반응형

우리아이 왜 그럴까101

자신감 없는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1. 자신감 없는 아이 상담실에 종종 부모님이 자신의 자녀가 자신감이 너무 없는 것 같아 고민이라고 호소하며 방문하는 경우가 있다. 대체로 자신감이 없는 모습을 처음 발견하게 되는 시기가 대체로 초등학교 입학 후인 경우가 많은데, 유아기에는 별로 자신감 없는 모습이 보이지 않았던 아이가 학교에 입학한 후 점점 자신감이 없는 모습을 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부모는 어떤 모습을 보고 자녀가 자신감이 없다고 판단을 하는 걸까? 자신감이 없는 아이들은 종종 '나는 할 수 없어', '나는 못 해'라고 자신이 어떤 과업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을 호소하게 된다. 학교나 학원에서 제시한 과제들을 마주하고 못한다, 어렵다고 호소하며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면 부모들은 아이가 자신감이 많이 부족하다고 여기게 된다. .. 2023. 10. 4.
학교 부적응의 원인: 근면성과 열등감 #1. 학교 부적응의 원인 학교부적응의 원인에는 다양한 요인들이 작용을 하게 된다. 앞선 포스팅에서 아동의 취약한 정서적인 문제에서의 원인을 이야기했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학업성취와 관련된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학교 부적응이란 학교생활에 적응적이지 못한 모습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에 등교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으며, 학교 내에서 또래관계를 원활하게 형성하지 못하고, 학습성취에서도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많은 부모들이 아이가 학교에 잘 적응하지 못하는 원인 제1순위로 꼽게 되는 이유가 바로 학업 스트레스인데, 왜냐하면 학교에서의 가장 중요한 과업이 바로 학습성취이기 때문이다. 2023.09.23 - [우리 아이 왜 그럴까] - 학교 부적응의 원인: 좌절에 취약한 아이들 학교 부적응의 원.. 2023. 9. 26.
학교 부적응의 원인: 좌절에 취약한 아이들 #1. 학교 부적응이란? 학교부적응이란 전반적으로 아이가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불편감을 느끼는 정도가 심하며, 학습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유아기까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생활에 별 문제가 없던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한 후부터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초등학교에 입학한 후 또래와 잘 관계를 맺지 못하고, 집단활동을 어려워하며, 학교가 기를 싫어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학교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이는 것이다. 아이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학교에 등교하는 것을 힘들어할 때, 많은 부모들은 아이가 혹시 학업 스트레스가 심해서 그런가? 혹은 공부가 어려운가? 하며 학습과 관련된 원인을 제일 먼저 떠올리게 된다. 학습과 관련된 원인도 중요한 학교부적응의 .. 2023. 9. 23.
남 탓 하는 아이: 이유와 대처방법(잘못에 책임지는 아이로 키우기) #1. 남 탓하는 아이 자녀를 양육하다 보면 혼을 내야 하는 상황에서 아이들이 "제가 먼저 그랬어요", " 엄마가 먼저 그랬잖아" 등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기보다는 잘못의 원인을 타인에게 돌리는 모습을 종종 보게 된다. 이런 모습이 처음 발견되는 시기는 대체로 만 3세 이후의 유아에게서 보게 되는데, 부모는 아이가 처음으로 '엄마 때문에 그렇잖아!'라고 잘못을 엄마에게 전가하는 모습을 처음 맞닥뜨리게 되면 '엄마가 언제 그랬어~!'라고 면박을 주거나 혹은 '그래, 미안하다'라고 수긍을 하는 모습으로 대처하게 된다. 아이들이 발달과정에서 물활론적 사고를 하는 시기에는 아이가 책상에 부딪혀서 울 때 보호자들은 책상을 때리는 시늉을 하며 책상이 잘못했다고 혼내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이는 부모가 아이를 .. 2023. 9. 18.
문 닫는 아이들: 심리와 대처방법 #1. 문 닫는 아이의 이유 어느 순간 아이가 자신의 방문을 닫아걸고 열어주지 않는 시기가 온다. 그럴 때면 많은 부모들은 당황하게 되고, 그런 자녀를 어떻게 다루어줘야 할지 막막할 때가 있다. 그래서 어떤 부모는 닫아 건 문을 억지로 열고 들어가 아이를 혼내기도 하고, 또는 차마 열지 못하고 속앓이를 하기도 한다. 아이들은 왜 문을 닫는 걸까? 자녀가 보통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어가고, 청소년기가 다가오기 시작하면서 자신의 방문을 굳게 닫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아이들이 조용한 학습환경과 집중하기 편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방문을 닫고 공부를 하는 것은 일반적인 모습이다. 이럴 때 부모가 이를 문제 삼지는 않는다. 하지만, 아이가 문을 잠가버리고 부모가 자신의 방에 들어오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 2023. 9. 11.
손을 빠는 아이와 손톱 물어 뜯는 아이: 이유와 대처방법 #1. 손을 빠는 이유 생 후 2세 미만의 영아가 손을 빠는 모습은 종종 볼 수 있는 모습이다. 이는 정상적인 반응으로, 반사행동의 일환으로 시작되어 점차 놀이처럼 아이가 즐기다가 안정감을 주는 행위로 전환된다. 하지만 이러한 행위가 유아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나타난다면 이러한 경우 대체적으로는 심리적인 부분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아이들이 주로 손가락을 빠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이나 스트레스로 인해 초기 영아기의 안정감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구에 의한 행동이다. 아이들은 손가락을 빨면서 지금 현재 자신이 경험하고 있는 불안이나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나고자 한다. 둘째, 지루함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한다. 아이들이 영아기에 손가락을 빨려 즐거움을 경험했던 시기로 퇴행함으로써 현재의 지루한.. 2023. 9.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