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아이 왜 그럴까100 도벽이 있는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1. 도벽이 있는 아이 유아기 후기부터 아동기 초기까지의 아이들 중 물건을 훔치는 행위로 인해 부모가 난감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아이가 유치원에서 돌아왔는데 가방 안에 부모가 처음 보는 장난감이나 물건이 있는 경우, 아이가 엄마나 아빠의 지갑에서 몰래 돈을 꺼내거나, 혹은 슈퍼나 문구점에서 몰래 물건을 가져오기도 한다. 친구의 물건을 몰래 들고 오기도 하고, 저금통에서 돈을 꺼내 가기도 한다. 아이가 이런 행동을 할 때 부모는 우리 아이가 도둑질을 했다는 사실에 적잖이 충격을 받게 되고 호되게 혼을 내게 되는데, 한 번으로 끝나는 경우도 있지만, 잘 고쳐지지 않는 경우도 있다. 물건을 훔치는 아이는 거짓말을 동반하게 되기 때문에, 부모는 아이의 도덕성 교육에 심각한 위기를 느끼게 된다. 아이들은 자.. 2023. 10. 26. 자다가 깨서 우는 아이: 야경증의 원인과 대처방법 #1. 자다가 깨는 아이 잠을 잘 자지 못하고 자다가 갑자기 깨서 자지러지게 울거나, 불안해하는 아이들이 있다. 무슨 꿈을 꾸었는지 무섭다고 하며 매우 서럽게 울기 때문에, 부모 입장에서는 자다가 느닷없이 겪게 되는 매우 당황스러운 경험이 아닐 수 없다. 이렇게 우는 아이들을 다시 재우는 일도 만만치 않아서 겨우겨우 달래서 재우다 보면 부모의 충분한 수면시간은 어느덧 날아가 버리고 피곤한 아침을 맞이하게 된다. 아이들 역시도 밤마다 무서움을 느끼며 깨서 우는 경험이 반복되게 되면, 잠을 자는 것에 대해 부정적으로 경험하게 되면서 밤에 자는 것을 두렵게 느끼게 되고 부모와 잠자리가 분리되는 것에 대해 극도로 불안해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아이들의 건강한 정서 및 신체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주.. 2023. 10. 24. 좋아하는 것만 하려는 아이(융통성이 부족한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1. 좋아하는 것만 하려는 아이 자신이 좋아하고 원하는 것만 하려는 아이가 있다. 대체로 이러한 아이들은 부모가 새로운 것을 제시하는 것, 낯선 것, 좋아하지 않는 것들에 대해 단호하게 거절하고 불편함을 표시한다. 공룡에게 지나치게 빠진 아이가 있다면, 그 아이에게 부모가 공룡 외의 장난감을 제시하게 되면 원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만 하려는 아이는 달라지는 상황을 매우 싫어하며, 그런 상황에 대해 어떤 경우에는 분노를 표출하기도 한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만 그리려는 아이가 있다. 전쟁 장면만 그리려는 아이, 좋아하는 로봇만 그리려는 아이, 공주만 그리려는 아이, 색을 칠하는 것을 거부하고 선으로만 그리려는 아이, 사람 그리기를 거부하고 풍경만 그리려는 아이 등등. 이런 아이들에게 부.. 2023. 10. 23. 고집 센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1. 고집이 센 아이 고집이 센 아이들이 있다. 자녀가 지나치게 고집이 세면, 부모들은 양육하는데 여간 애를 먹게 되는 것이 아니다. 그러다 보니 양육스트레스도 높아지고, 부모자녀 관계에도 갈등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고집이 센 아이들은 한번 고집을 피우기 시작하면 여간해서 자신의 고집을 철회하지 않기 때문에 부모들이 자주 아이의 고집에 굴복하게 되고, 이러한 패턴은 계속 반복이 된다. 그러다 보면, 아이의 고집은 점점 강화가 되고, 부모는 점점 지쳐가게 된다. 고집이 센 아이들은 언뜻 보면 논리적인 듯 보일 때도 있지만 대체로 억지를 부리는 경우가 많고, 한번 주장한 자신의 논리가 설사 틀렸다 할지라도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는다. 고집이 센 아이는 한번 마음먹은 일은 여간해서는 철회하지 않는다. 부모.. 2023. 10. 20. 스마트폰, 게임 중독에 빠진 아이들: 원인과 대처방법 #1. 스마트폰에 빠진 아이들 부모와 자녀 간 갈등의 원인들 중 가장 최상위를 차지하는 요인이 바로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문제들이다. 부모들을 대상으로 자녀에 대한 문제행동과 관련된 검사를 실시할 경우,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신들의 자녀가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조절력이 부족하고 중독증상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많은 부모들은 자신들의 자녀가 게임을 너무 많이 하고, 유튜브에 빠져 있으며, 스마트폰을 너무 많이 의존하고 사용한다고 여긴다. 많은 아이들이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문제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스몸비(smombie= smartphone zombie)"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스마트폰에 한번 몰입하게 되면 아이들은 주변을 인식하지 못하고 마치 좀비처럼 스마트폰.. 2023. 10. 19. 경쟁심이 강한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1. 경쟁심 강한 아이 자녀들을 양육하다 보면 자녀의 지나친 승부욕 때문에 당황한 경험을 하는 경우가 있다. 아이와 재미있게 하려던 보드게임에서 자녀의 승부욕 때문에 결국은 화를 내며 게임이 끝나는 경우도 있다. 상담실에 이러한 문제로 방문하는 부모들은 혹시 우리 아이가 너무 자기중심적인 것은 아닌지, 이기적인 것은 아닌지 걱정을 하게 된다. 경쟁심과 승부욕이 강한 아이들은 일상생활에서 상당한 마찰을 경험하게 된다. 또래관계라는 개념이 형성되고 주변과 어울려 활동하는 시간들이 많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아이들은 서로 다양한 활동 속에서 경쟁을 하게 된다. 아이들 간의 경쟁은 성장과 발달에 촉진적 역할을 하고 동기부여를 제공함으로써 아이가 좀 더 노력할 수 있게 만드는 순기능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2023. 10. 17. 이전 1 ··· 4 5 6 7 8 9 10 ···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