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아이 왜 그럴까100 친구와의 갈등과 부모의 역할 #1. 친구와의 갈등 아이들은 종종 또래 친구들과 다투게 된다. 갈등의 원인은 정말 다양하다. 오해로 다투기도 하고, 경쟁심 때문에 싸우기도 하며, 개인적 신념이나 가치의 다름으로 인해 갈등을 경험하기도 한다. 흔히들 아이는 싸우면서 큰다고 하는데, 이러한 갈등의 경험들은 어떤 경우에는 아이를 성장시키는 중요한 경험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모든 다툼이 성장의 기회가 되지는 않는다. 어떤 다툼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는데, 친구 간의 다툼이 심리적으로 트라우마를 형성하기도 하고, 학교폭력 등의 심각한 결과로 인해 물리적인 피해를 입거나 입히기도 한다. 이러한 갈등이 단순히 친구 간의 다툼을 넘어서서 부모의 다툼으로 번지게 되고,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되기도 한다. 친구 간의 다툼으로 인해, 또래관.. 2023. 11. 12. 의존적인 아이: 의존성의 원인과 대처방법 #1. 의존적인 아이 아이가 영, 유아기 시절에는 혼자 하기 어려운 일들이 많기 때문에 부모나 어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아이가 충분히 스스로 할 수 있는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하지 않으려 하고 엄마, 아빠에게 대신해 달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면, 아이의 의존성에 대해 한번 고민을 해 보아야 한다. 엄마가 색칠해 줘~! 엄마가 대신 물어봐 줘~! 화장실 가도 돼요? 여기 빨간색으로 색칠해도 돼요? 의존적인 아이들은 조금만 어렵거나 귀찮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누군가가 대신해 주기를 원하고, 가장 의존하게 되는 부모에게 대신해 달라고 요청을 하게 된다. 또한, 의존적인 아이들은 충분히 스스로 결정하면 되는 사소한 일들까지도 시시콜콜 부모에게 물어보는 경우가 많다. 의존적인 아이들의 특.. 2023. 11. 11. 말대꾸 하는 아이: 원인과 훈육방법 안내 #1. 말대꾸하는 아이 부모가 자녀를 훈육하려 할 때 자녀가 말대꾸를 하게 되면, 부모는 자신의 말에 말대꾸하는 아이에 대해 화를 내게 된다. 보통 자녀가 말대꾸를 할 때는 반항하듯이, 부모의 말에 대응하여, 마치 부모의 권위에 도전하듯 말을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부모는 자녀의 이러한 태도를 불편하게 생각하게 되며, 대체로 화를 내며 아이를 혼내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아이의 말대꾸에 말문이 막히는 경험을 하게 되기도 한다. 그럴 때면, 부모는 자괴감이 들고, 의욕이 사라지며, 뭐라고 반박을 해야겠는데 도무니 할 말이 생각나지 않는 자신이 너무나 답답하게 여겨지기도 한다. 말대꾸하는 아이들은 일단 인정하지 않는 자세를 가진다. 자신의 행동이나 말, 태도에 대해 자신은 그런 적이 없다거나 혹은 그런 뜻이.. 2023. 11. 6. 사춘기 이해하기: 사춘기 증상, 원인, 대처방법 안내 #1. 사춘기 초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가 상담실에 찾아왔을 때, 혹시 우리 아이가 사춘기가 아닌지 궁금해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물어보면, 아이가 방에 혼자 있으려 하고, 자주 짜증을 내며, 말대꾸를 하기도 한다며, 이것이 사춘기의 증상과 같은 것 같다고 말한다. 증상만 보면, 전형적인 사춘기의 모습이긴 하다. 하지만 아이가 초등학교 4, 5학년인데 사춘기가 온 것 같다고 이야기하는 경우에는 부모에게 사춘기의 증상은 아닌 것 같다고 말해준다. 오히려 이 증상은 우울감이나 불안이 높을 때 보이는 증상이라고 할 수 있다. "사춘기(Puberty)"는 2차 성징이 나타나면서 생식기능이 완성되기 시작하는 시기를 말한다. 이때 성적 호르몬의 변화가 나타나면서 신체적 변화뿐 아니라 정서적인 .. 2023. 11. 4. 겁이 많은 아이: 이유와 대처방법 #1. 겁이 많은 아이 유달리 겁이 많은 아이들이 있다. 아이가 겁이 많은 경우, 사소한 걱정이 많아지고, 낯선 것에 대해 회피하는 모습을 많이 보이며, 조그마한 변화에도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때로는 겁이 강화되어 거의 공포 수준의 두려움을 경험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병원에 대한 두려움이 많아 병원에 가는 것에 겁을 내는 아이들은 예방주사 하나 맞으러 가는 일이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부모는 아이에게 예방주사를 맞게 하기 위해 어르고 달래고 선물 사주고 온갖 방법을 동원해야만 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겁이 많은 아이들은 모험을 좋아하지 않으며, 소란스럽거나 안정적이지 않은 환경을 좋아하지 않는다. 즉, 예측가능하지 않은 일에 대해서 선호하지 않는 편이다. 그래서 매우 신중한 모습을 .. 2023. 10. 31. 잘 우는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1. 잘 우는 아이 툭하면 우는 아이가 있다. 마음에 안 들어서 울고, 화가 나서 울고, 뜻대로 안 돼서 울고, 속상해서 울고... 잘 우는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우는 것으로 소통하려는 특징을 가진다. 엄마가 아이에게 과제를 내주었는데, 아이가 느닷없이 눈물을 흘리며 고개를 숙이고 있다. 엄마가 이유를 묻지만 대답조차 하지 않고 눈물만 흘린다. 결구, 엄마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다가 화를 내거나, 그냥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하지만, 아이는 그래도 계속 눈물을 흘린다. 어떤 아이는 말이 막히거나, 무엇인가 자기 뜻대로 되지 않을 때 무조건 눈물부터 흘린다. 눈물을 멈추고 차근차근하라고 해도 일단 눈물을 흘리기 시작하면 입을 닫아버리고 하지도, 안 하지도 않는 어정쩡한 상태로 고집을 피운.. 2023. 10. 28. 이전 1 ··· 3 4 5 6 7 8 9 ···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