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 아이 심리 발달 이야기
반응형

전체 글125

자녀에게 어떤 보상을 주어야 할까? : 보상의 개념과 올바른 활용법 우리 아이에게 어떤 보상을 주어야 할까? 자녀를 양육할 때 부모가 자녀에게 좋은 습관을 들이게 하거나 혹은 훈육의 방법으로 "보상"을 사용하게 되는 경우는 매우 흔한 일이다. 하지만 이 보상 때문에 종종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데, 보상문제로 고충을 상담하는 부모가 심심치 않게 발생한다. 대부분 부모가 가장 쉽게 제공하는 보상은 아이가 원하는 어떤 물건을 주거나 용돈을 주거나 혹은 게임시간을 허락하는 등의 자녀가 좋아하는  것을 제공하게 되는데, 이 보상들이 어느 순간이 되면 더 이상 보상이 아닌 갈등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이다. 자녀에게 적절한 보상이란 어떤 것인지, 또 보상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사용할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보상의 개념 부모가 자녀를 훈육할 때 활용하는 보상은.. 2025. 2. 27.
소심한 우리 아이, 어떻게 도와줄까요? 소심한 우리 아이, 어떻게 도와줄까요? 새 학기에 들어서면 부모님들은 자녀가 새로운 반에 잘 적응할지, 새 친구들을 잘 사귈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을 하게 된다. 평소에 친사회성이 높고, 적극적인 아이들이야 그런 걱정을 많이 하지 않겠지만, 내성적이고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거나 어려워하는 자녀들에 대해서는 부모로서 매번 걱정을 하게 된다. 새 학년이 될 때마다 긴장하고 새 친구를 만나는 것을 두려워하는 아이를 보면 부모는 '혹시 아이가 너무 소심한 것은 아닐까?' 걱정을 하게 되고, 심하면 상담센터를 방문하게 되기도 한다. 어른들이 '소심하다'라고 명명하게 되는 아이, 왜 그런지, 어떻게 도와주면 좋을지 알아보도록 한다. 1. 소심함의 이유소심함은 비단 아이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가질 수 있는 하나.. 2025. 2. 25.
초등학교 입학 자녀를 둔 부모가 고려해야 할 것 초등학교 입학자녀를 둔 부모가 고려해야 할 사항 아이들에게 있어서 초등학교 입학은 일생에서 만나는 첫 번째 큰 변화일 것이다. 이는 비단 아이들뿐만 아니라 부모 역시 마찬가지다. 아이는 그동안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받던 교육과는 완전히 다른 형태의 교육방식을 접하게 되면서 입학 후의 적응기간을 무사히 넘기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때문에 아이들도 긴장할 뿐 아니라 부모도 자녀가 학교에 잘 적응할지에 대한 염려를 가지게 된다. 부모는 자녀가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행복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다음의 사항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1. 아이에게 마음을 준비하게 한다. 가끔 부모가 입학을 앞둔 자녀에게 주의해야 할 것들을 지나치게 이야기한 나머지 아이가 학교라는 존재에 대해 두려움과 긴장을 가지게 한.. 2025. 2. 13.
쉽게 포기하는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쉽게 포기하는 아이, 왜 그런 걸까? 상담실에서 아이들을 만나다 보면, 무슨 일이든 쉽게 포기하는 아이들을 심심치 않게 만나게 된다. 조금만 어렵다거나, 귀찮거나 혹은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경우, 이를 극복하고 노력해서 나아가기보다는 포기하고 하지 않는 것을 선택하는 아이들이다. 부모는 자신의 자녀가 이런 모습을 보일 때 실망감과 답답함, 속상함을 경험하게 되고, 이런 부모의 마음은 자녀와의 갈등을 유발하게 되기도 한다.  1. 자녀가 쉽게 포기하는 이유자녀가 포기하는 모습을 가장 많이 보이는 경우는 바로 과업을 수행해야 할 때이다. 학교나 학원의 과제, 가정에서 수행해야 할 과업들에 대해 쉽게 포기하고 좌절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때 아이들이 포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좌절에 대한 두려움 주로 완벽.. 2024. 11. 27.
교사와 갈등하는 아이: 원인과 해결방법 교사와 갈등하는 아이 최근 들어 상담실에 찾는 아동들 중 심심치 않게 교사와 갈등을 겪는 아이들을 보게 된다. 과거 우리는 군사부일체라는 이야기를 늘 들으며 교사는 스승이라 여기고 절대적으로 따라야 하는 존재로 여겼지만, 오늘날의 학교현장에서 교사라는 존재는 그 의미가 예전과는 많이 달라져서 예전과 같은 스승이라는 의미는 퇴색해졌다. 그래서인지 학생과 교사 사이에는 여러 갈등들이 발생하게 되고, 한동안은 학생인권이 대두되다가 최근에는 교사인권이 대두되면서 그 갈등은 더 심해진 듯 보인다. 하루의 많은 시간을 학교에서 보내는 아이들에게 있어서 교사와의 갈등은 상당히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 이는 자아성장 및 발달에도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된다. 교사와 학생 간의 갈등은 또래관계에도 영향을.. 2024. 11. 23.
갑자기 산만해진 아이, 왜 그런걸까? 갑자기 산만해진 아이, 왜 그런 걸까요?어느 날 갑자기 집중하지 못하고 딴생각에 자주 빠지거나, 혹은 몸을 가만히 있지 못하고 한 가지에 집중하지 못하고 이것저것 산만하게 행동하는 아이를 보게 되면, 부모는 아이가 갑자기 왜 그런 건지에 대한 염려가 생기게 된다. 평소 아이의 변화를 잘 발견하지 못하다가 아이의 변화를 인지하게 될 때쯤이면 이미 아이의 변화된 태도가 상당기간 지속된 이후일 가능성이 높다. 즉, 아이의 산만함이 오늘 갑자기 나타난 증상이 아니라 이미 오래전부터 지속적인 신호들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아이가 갑자기 산만해졌다고 느껴진다면, 아이가 어떤 상황에서 산만한지, 어떤 행동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이전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 심해졌는지 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1. 고려해야 할 사항 .. 2024. 11.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