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 아이 심리 발달 이야기
반응형

우리아이 왜 그럴까100

아이의 뇌: 뇌 발달 이야기 (1) #1. 뇌 발달의 시작 : 뉴런 우리 인간의 뇌에는 대략 1,000억 개 정도의 신경세포들이 다양한 과제를 수행하며 우리가 인간으로서 기능하게 해 준다. 인간은 사고하고 감정을 느끼며 행동을 할 때 눈에 띄는 신호에 의존하게 되는데, 이러한 눈에 띄고 경험적인 신호들은 우리의 부지런한 뇌세포들의 활동으로 일어난 결과이다. 우리가 느끼는 기대감이나 행복감, 그리고 걷는 속도 등은 뇌에서 일어난 정보 처리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우리의 생각과 감정, 그리고 행동 모두가 하루에 수조 번이나 정보를 받아들이고 행동을 생산해 내는 뇌세포들로부터 초래된다. 이 세포들이 뉴런(neuron), 즉, 신경계에 위치하여 정보 처리 관계를 수행하기 위해 서로 소통하는 세포들이다. 뉴런은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 2023. 6. 19.
'느린 아이'의 이유 #1. 느린 아이(slow-to-warm-up) 까다로운 기질의 아이에 비해 느린 기질을 가진 아이들은 생각하기에 좀 더 수월할 것이라는 생각을 가지기 쉽다. 하지만 "느린 아이" 역시 많은 부모님들을 상담실을 찾게 한다. 느린 아이들은 반응이 느리고 수줍음이 많으며 다소 사회성이 부족한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특히 부모가 기질적으로 다혈질이거나 까다로운 기질을 가진, 적극적인 부모라면 더욱 느린 기질의 자녀와 잦은 갈등을 경험하게 된다. 느린 아이들은 경험에 대한 습득과 표현의 시간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비해 더디기 때문에 성격이 급한 부모는 답답함을 느끼게 되고 자주 다그치거나 나무라는 경우가 생긴다. 「한 아이가 있다. 그 아이는 유치원에 가기 위해 무슨 옷을 입고 가야 할지 고민이다. 앞에 엄마.. 2023. 6. 16.
'까다로운 아이'의 이유 #1. 까다로운 아이 「한 아이가 있다. 그 아이는 지금 유치원에 가기 위해 무슨 옷을 입을지 고민을 하고 있다. 엄마는 출근하기 바빠 아이에게 빨리 고르라고 재촉을 한다. 하지만 아이는 청바지도 싫다, 검정 옷도 싫다, 면티도 싫다고 하며 짜증을 낸다. 결국 유치원에 지각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엄마는 아무 옷이나 골라 아이에게 입힌다. 아이는 소리를 지르며 짜증을 내고 유치원에 가지 않겠다고 떼를 부린다. 엄마의 아침 시간은 완전히 기분이 엉망이 되었고 아이 기분을 어떻게 맞춰야 하는지 답답하기만 하다.」 대다수의 많은 부모들이 맞이하는 아침 풍경은 아마도 위와 같을 것이다. 상담실에 가장 많이 방문하는 유형의 아동이 바로 이러한 까다로운 아이들인데, 이 유형의 아이들은 기본적으로 "짜증"과 "신경질".. 2023. 6. 15.
지능 이야기: 똑똑한 우리 아이? #1. 똑똑함의 기준 상담실에 방문하는 아이들을 만나다 보면, 또래에 비해 인지발달이 현저히 늦는 친구들이 종종 있다. 하지만 그들의 대부분은 부모가 그러한 점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때로는 아이가 매우 높은 인지 수준을 보이는 친구들도 있는데, 그러한 경우에도 아이의 영리함에 대해 이야기를 하면, '정말 그런가?' 의구심을 가지는 경우도 종종 있다. 내 아이가 과연 똑똑한지, 아니면 또래보다 인지가 조금 느린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똑똑함"에 대한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다. 어떤 부모는 자신의 자녀가 얼마나 높은 학습성과를 보이는가에 따라 판단하는가 하면, 어떤 부모는 자신의 자녀가 얼마나 말을 잘하는 가를 판단의 기준으로 삼기도 한다. 혹은 아이의 친사회성, 눈치가 빠를 때 등등 부.. 2023. 6. 14.
내 아이 ADHD인가요? # 1. ADHD란? ADHD(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로, 뇌의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과 뇌 구조의 문제, 뇌손상 등이 원인이다. ADHD아동은 그 명칭에서 나타나듯이 일단 주의력이 결핍되어 있다. 매우 산만하며, 집중을 하지 못한다. 충동조절이 되지 않으며, 행동이 과장되고 부족한 자지조절력으로 인해 감정과 행동이 조절되지 않은 모습으로 나타난다. DSM-5(미국정신의학회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 편람)에 의거하면 다음의 증상을 가진 경우에 ADHD로 진단을 내린다. 1) 부주의 다음의 증상 중 6개 이상이 적어도 6개월 이상 나타나야 한다. 흔히 세부적인 면에 대해 면밀한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거나 학업 및 직업, 또는 다른 활동에.. 2023. 6. 13.
기질 이야기: 기질과 성격 #1. 기질은 변하지 않는가? 기질은 타고난 본래의 특성을 의미한다. 그렇게 때문에 기본적으로 기질은 변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렇다 보니 어떤 부모는 묻는다. 산만하고 충동적이며 신중하지 못한 기질을 타고난 아이는 계속 그런 모습으로 살아야만 하는가? 변하지 않는가? 그 질문에 대해 대답해 보자면 기질은 변하지 않지만 행동과 생각은 변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성격이다. 성격은 환경과 학습과 경험에 의해 변화되며 형성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타고난 기질이 산만하고 충동적이고 신중하지 못하다 할지라도 환경 및 경험에 의해, 그리고 학습에 의해 아이는 도전적이고 진취적이며 주변을 잘 살피는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자녀를 양육하고 돌봄에 있어서 자녀의 기질을 잘 살피는 것이 중.. 2023. 6.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