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 아이 심리 발달 이야기
반응형

우리아이 왜 그럴까101

부모의 양육태도: 일관된 양육태도 #1. 일관된 양육태도 일관된 양육태도란, 부모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이랬다 저랬다 하지 않고, 동일한 원칙을 자녀에게 제시함으로써 일관성 있는 모습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부모의 양육태도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 바로 "일관성"이다. 부모가 자녀를 훈육함에 있어서 항상 동일한 원칙을 제시하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변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일관성이다. 부모의 일관적인 모습은 왜 중요할까? 부모의 일관성은 부모자녀 간의 신뢰감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부모와 자녀 간에 신뢰감을 잃게 되면, 서로 존중하기 어려워지게 되고, 관계가 틀어지며, 점점 멀어지는 관계가 된다. 부모가 자녀에게 좋은 습관을 들여주고 올바르게 자라기를 바란다 하더라도 이 신뢰감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면, 부모의 이러한 소원은 자녀에게.. 2023. 6. 30.
부모의 양육태도: 자녀에게 공감하기 #1. 공감이란 공감(empathy, 共感)이란 단어에 대해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공감과 동정 혹은 동감 등과 구별해야 한다. 공감은 상대방의 입장이나 감정을 이해하고 느끼는 것을 말하며, 동정은 상대방의 감정을 나도 동일하게 인식하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공감과 동정 모두 감정의 변화가 있지만 공감이 좀 더 인지적인 측면과 함께 감정을 느끼는 것이라면, 동정은 좀 더 감정에 압도당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동정은 공감보다는 좀 더 상대방을 위해 적극 나서도록 작동하며, 동정의 중심에 자신의 경험이나 감정이 존재하기 때문에 단편적인 이야기 만으로도 쉽게 상대방에게 동화된다. 하지만, 공감은 좀 더 상대방과 자신을 명확하게 구분한다. 때문에 상대방의 감정에 압도되거나 동화되지 않고 상대방의 마음을 이해.. 2023. 6. 29.
부모의 양육태도: 권위있는 부모와 권위적인 부모 #1. 부모양육태도의 유형 부모의 양육태도를 결정하는 여러 요소에 대해 앞선 포스팅에서 살펴보았다면, 이번 포스팅에서는 양육태도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양육태도의 유형은 애정, 자율, 적대, 통제 이 네 가지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1) 애정-자율형(Affectional-autonomic attitude) 이 유형의 부모는 자녀에 대한 애정이 높고, 자녀에 대한 자율성을 많이 허용하는 부모라 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민주적인 모습을 보이며, 자녀에 대해 수용적이고 협동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어떤 상황에서도 자녀의 의사를 존중하고 부모가 독단적으로 결정을 하지 않는다. 자녀에 대해 통제하는 것을 피하며, 복종을 요구하지 않고, 자녀의 부정적인 감정도 인정하고 수용해 준다. 이러한 경.. 2023. 6. 28.
부모의 양육태도 요소: 감독, 과잉기대, 비일관성 # 1. 부모 양육태도의 요소 부모의 양육태도의 요소에는 앞의 포스팅에서 설명한 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간섭, 성취압력, 처벌과 이번 포스팅에서 설명할 감독, 과잉기대, 비일관성이 있다. 부모 양육태도 요소: 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간섭, 성취압력, 처벌 (참고) https://kikiec.tistory.com/26 부모의 양육태도 요소: 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성취압력, 간섭, 처벌 #1. 양육태도의 요소 부모의 양육태도란 부모 또는 양육자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나타나는 태도 및 행동을 말한다. 부모와 자녀 간에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부모의 양 olive-world.com '감독'은 부모가 자녀의 일상 스케줄을 파악하고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데, 이는 자녀의 목적적인 행동과.. 2023. 6. 27.
부모의 양육태도 요소: 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성취압력, 간섭, 처벌 #1. 양육태도의 요소 부모의 양육태도란 부모 또는 양육자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나타나는 태도 및 행동을 말한다. 부모와 자녀 간에 일방적인 관계가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부모의 양육태도는 자녀가 어떻게 지각하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성취압력, 간섭 수준, 처벌 및 감독, 과잉기대 수준과 비일관성여부이다. '지지표현'은 자녀에 대한 애정표현 정도를 의미한다. '지지표현'의 지수는 자녀의 자기 신뢰감 형성과 관련이 있다. 부모가 자녀에 대한 지지표현의 정도가 높을수록 자녀에 대한 애정표현을 많이 하는 것을 의미하며, 낮을 경우에는 부모가 자녀에 대한 애정표현이 부족하거나 자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자녀에 대한 적절한 지지를 표현하.. 2023. 6. 26.
정서의 뇌: 우리의 정서는 어디서 경험되는가? #1. 정서란? 정서란 무엇인가에 대해 단적으로 묘사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정서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 위해 여러 학자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를 하였는데, 많은 학자들이 다차원척도법(multidimensional scaling)이라고 하는 기법을 사용하여 인간의 경험에 대한 지도를 그렸다. 이러한 지도를 통해 정서에 대한 두 가지의 내용을 도출하였는데, 첫째, 정서 경험은 좋거나 나쁘다는 사실, 그리고 둘째, 이러한 경험들은 특징적인 수준의 신체 각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를 토대로 정서(emotion)는 특정한 생리적 활동 패턴과 연합되어 있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경험으로 정의할 수 있다. 19세기 후반, 윌리엄 제임스(William James)와 칼 랑게(Carl Lange)는 제임.. 2023. 6.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