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 아이 심리 발달 이야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6

소아불안장애: 분리불안 # 1. 분리불안장애 분리불안장애(separation anxiety disorder, SAD)는 주 애착 대상이나 안전하다고 여기는 공간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대한 과도한 불안과 공포를 경험하는 장애이다. 분리불안장애를 경험하고 있는 아동은 주 애착대상인 부모와 잠시라도 떨어지는 것에 대해 극도로 불안을 느끼고, 자신의 주변에서 부모가 멀어지지 않도록 강력하게 요구하게 된다. 그로인해 부모와 자녀 간의 잦은 갈등을 초래하게된다. 또는 지나친 염려와 걱정으로 인해 익숙한 공간이라 할지라도 혼자 있는 것을 두려워하여 혼자 방에 있지 못하는 경우가 생긴다. 분리에 대한 불안은 생후 7개월에서 6세 경에 나타나는 정상적인 반응이며, 이 시기의 아이들은 낯선 상황이나 사람에 대한 회피반응의 일환으로 부모로부터 분.. 2023. 7. 8.
소아불안장애: 특정공포증 #1. 소아의 불안장애 공포를 경험하거나 불안을 느끼는 것은 아동기의 정상발달에서 보편적이고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공포와 불안의 정도가 지나쳐 일상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정도가 된다면 이는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주게 되고 이후의 성장과정에서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일상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줌으로써 발달의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소아의 불안증상을 불안장애라 한다. 불안이 심한 아동은 일상생활에서 늘 긴장과 위축된 상태를 나타내다 보니, 신체적인 증상이 자주 발생하고, 예민해지며, 까다로운 상태를 유지한다. 그래서 불안한 아이들은 걱정과 염려가 높아 의존적이고 회피적인 모습을 주로 나타내고, 이로 인한 주변과의 갈등이 잦게 되면서 사회정서발달에 심각한 문제.. 2023. 7. 7.
불안한 우리 아이 #1. 불안에 대해 불안(Anxiety)이란 어떤 명확한 이유가 없이 막연하게 느껴지는 불쾌한 정서적인 상태 혹은 안정감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사람들은 어떤 중요한 일을 앞두거나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할 때 정서적으로 긴장감과 불안을 경험하게 된다. 또는 무엇인가 뜻대로 되지 않을 때, 걱정과 염려로 인한 불안을 경험하게 되기도 하다. 불안은 우리가 예측할 수 없는 것에 대해 경험하는 정서라 할 수 있다. 불안을 경험하게 되면 다양한 신체적 변화가 나타난다. 호흡이 불안정하게 되거나, 근육이 긴장되고, 두통이 오기도 한다. 또는 배가 아프기도 하는 등의 신체화 증상이 나타나며, 집중력이 떨어지고, 입술이 바짝바짝 마르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이 지속되거나 장기화되게 되면, 성격이 예민.. 2023. 7. 6.
자녀 감정코칭 #1. 감정코칭의 5단계 자녀의 감정을 코칭하기 위한 5단계를 소개하고자 한다. 1. 아이의 감정 인식하기 현재 자녀가 어떤 감정을 표현하고 있는지에 대해 부모는 재빨리 알아차리고 그 감정이 무엇인지 알아차릴 필요가 있다. 자녀가 아무리 작은 감정이라 할지라도 그 감정을 알아차려준다. 또한 자녀가 현재 보이는 행동에 어떤 숨은 감정이 있는지에 주목해야 한다. 아이가 지금 울고 있다면, 그 우는 행동의 숨은 감정이 슬픔인지, 화가 난 것인지, 답답함인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감정에는 다양한 색깔이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즉, 여러 가지 감정을 복합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슬프면서 화가 날 수 도 있고, 수치심과 분노를 동시에 경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감정들은 문화적인 배경과 개인에 따라 .. 2023. 7. 5.
자녀의 감정읽기 #1. 감정의 중요성 인간은 다양한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경험하고 표현한다. 어떤 감정표현들은 나와 상대방을 즐겁게 해주지만, 어떤 감정들은 서로를 불편하게 하고 위기를 초래하기도 한다. 영화 "인사이드 아웃"에서 보면, 여러 감정들이 등장하게 되는데 이 드라마에 등장하는 기쁨, 슬픔, 분노, 혐오, 공포는 주인공인 라일리를 대변하고, 그를 위기 상황에서 구해주기도 하며, 행복을 경험하게 한다. 즉, 우리가 경험하는 긍정적인 감정, 부정적인 감정 모두 인간이 삶을 살아가는데 필수 요소들이며, 어느것 하나 소홀할 것이 없다는 것이다. 즉, 우리가 너무 긍정적인 감정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감정이던지 수용하고 받아들임으로써 더욱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는 것이다. 때로는 감정과 기분을 혼동하게.. 2023. 7. 4.
부모의 양육태도: 자녀와의 의사소통 유형 #1. 효과적인 의사소통 가족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상호 간의 자기 노출, 피드백, 상호적 긍정이 중요하다. 서로 소통을 하고 관계를 맺을 때 누구 한 사람만 일방적으로 자기를 개방하고, 다른 상대방은 자신에 대해 드러내지 않으려 한다면, 그 관계는 지속되기가 어렵다. 부모자녀 간에도 부모가 일방적으로 자녀에게만 모든 것을 개방하게만 한다면 자녀는 이를 부당하다고 여길 것이다. 누군가에 대해 알기를 원한다면, 나 또한 그에게 나를 알려줘야 한다. 그랬을 때 좀 더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서로 간의 피드백을 주고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자녀가 엄마에게 오늘 학교에서 있었던 일을 열심히 이야기를 했는데, 엄마가 '어~ 그래' 그리고 바쁘게 부엌일을 하고 있다면.. 2023. 7.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