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5 자녀의 이중생활: 부모가 알고 있는 자녀, 부모가 모르는 자녀 #1. 부모가 알고 있는 아이, 부모가 모르는 아이 자녀는 부모가 낳고 기르고 양육하였으며, 항상 세심하게 살피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누구보다도 나의 자녀에 대해 가장 많이 이해하고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바로 부모일 것이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신들보다 자신들의 아이를 아는 사람을 없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어느 날 학교로부터 한 통의 전화를 받거나, 혹은 학원이나, 이웃에 의해 이야기를 듣게 되면서 그 믿음에 금이 가기 시작한다. 과연 내가 알고 있던 내 아이가 맞나? 가끔 상담실에 자녀를 데리고 상담을 받으러 오는 부모님들 중 자신들의 자녀가 그럴 줄 몰랐다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다. 자신들의 알던 자녀의 모습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집에서 너무나도 조용하고 부모에게 순종하.. 2023. 12. 28. 부모의 갈등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부모의 갈등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 #1. 부모자녀 관계 인간은 태어나게 되면 자연스럽게 형성하게 되는 첫 번째 관계가 바로 부모와 자녀의 관계이다. 부모는 아이를 출산하게 되면 자녀라는 존재를 만나게 되고, 이제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부모라는 경험을 하게 된다. 그리고 아이는 세상에 태어나서 자신을 보듬어 안아주는 첫 존재인 부모를 만나게 된다. 이렇게 부모와 자녀는 인생의 첫 관계를 형성하게 되고, 이 관계는 평생을 가게 된다. 부모와 자녀 간의 관계는 "애착"이라는 관계경험을 통해 서로 신뢰감을 형성하게 되고, 더욱 끈끈한 유대를 형성하게 된다. 아이는 세상에 나와 처음 자신을 먹여주고 보살펴주는, 자신의 생사를 좌지우지하게 되는 부모를 만남으로 인해, 부모라는 존재는 생존과 직결된 존재이며 자신의 .. 2023. 12. 21. 긴장하는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1. 자주 긴장하는 아이 어떤 일들을 앞에 두고 긴장을 하게 되는 것은 인간이라면 자연스러운 현상 중 하나일 것이다. 하지만, 이 긴장이 지나쳐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면, 이는 결코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될 증상이 된다.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 긴장한 나머지 실수를 하게 된다거나,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긴장을 하게 돼서 원활한 관계형성을 이루지 못할 수도 있다. 자주 긴장하는 아이들은 낯선 사람을 만나면 긴장을 하여 엄마의 뒤에 숨거나 얼굴을 돌리는 경우도 있고, 잘 모르는 문제를 만나면 긴장한 나머지 문제를 회피하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새로운 환경에 긴장을 하여 만약 이사라도 하게 되면, 새로운 집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불안해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여러 상황에서 긴장하는 자녀들은 긴장 .. 2023. 12. 12. 애착이 자녀의 삶에 미치는 영향: 애착유형, 애착문제, 애착 장애 #1. 애착이란 애착(Attachment)은 아이가 출생 후 주 양육자와 형성하게 되는 친밀한 정서적인 유대감을 말한다. 주로 영아기 시기에 형성이 되는 사회적 발달의 중요한 요소이다. 영아가 주양육자와 애착을 형성하게 되면 그 주 양육자가 함께 있음으로 인해 안정감을 경험하게 되고, 위안을 얻게 된다. 영아기의 애착형성은 이후의 성장발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어떤 유형의 애착을 형성했는가가 아이의 성격형성뿐만 아니라, 인지발달, 신체발달에도 중요한 영향을 주게 된다. 애착이론의 가장 대표적인 학자는 존 보울비(John Bowlby)로 보울비는 영아의 애착 발달 단계를 4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애착 전 단계(Preattachment Phase: 출생 후~6주) 영아는 붙잡기, 미소.. 2023. 12. 6. 산후 우울증: 아동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1. 산후 우울증 산후우울증(postpartum depression, PPD)은 산모가 출산 이후에 심한 우울감과 무기력감을 경험하게 되는 우울증의 일환이다. 산모라 출산을 한 후 호르몬에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게 되고, 육아스트레스가 발생하게 되면서 증상이 발현된다. 대부분의 산모가 출산 후에 우울감을 경험하게 되지만, 산후 우울증은 그 증상이 심각하여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최근 뉴스에서 보면 출산 후 자신의 아이를 살해하거나 학대를 하기도 하고, 심각한 경우 자살에 이르기도 하는 등 산후 우울증을 개인의 문제를 넘어서서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1) 증상 지속적인 슬픔 관심이나 즐거움의 상실 심한 피로감 불안 수면장애 식욕의 변화 죄책감 무가치감 아기와의 유대감 형성의 어려움.. 2023. 12. 3. 충동적인 아이: 원인과 대처방법 #1. 충동적인 아이 순간적인 충동성으로 인해 좌충우돌하는 아이들이 있다. 충동적인 아이들은 순간을 참지 못하고 뭔가 일을 저지르곤 한다. 엄마가 잠깐 기다리라고 했는데, 그새를 못 참고 물건을 꺼내다가 우르르 쏟아버리거나, 앞 뒤 안 가리고 먼저 다가갔다가 위험에 맞닥뜨리게 되기도 한다. 충동적인 모습 때문에 아이는 매우 산만한 모습으로 보이고, 단체생활에서 또래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그리고 충동적인 아이들은 실수가 많다 보니 교사의 지적을 받게 되는 경우고 많다. 그래서 충동적인 아이들은 대체로 자존감이 낮은 모습을 보이며, 또한 잦은 갈등경험으로 인하여 주변에 대한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충동적인 문제로 인해 상담실을 찾는 경우, 많은 부모들은 혹시 아이가 .. 2023. 11. 30. 이전 1 ··· 3 4 5 6 7 8 9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