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 아이 심리 발달 이야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25

자녀 스마트폰 교육: 스마트폰 중독, SNS 교육, 사이버 폭력 이해 내 자녀 스마트폰 사용 교육 스마트폰은 이제 우리 삶에서는 떼어놓을 수 없는 필수품목이 되었으며, 우리 생활의 대부분을 지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연령도 점점 낮아져 지금은 유아기부터 스마트폰을 자유자재로 사용하는 모습을 주변에서 쉽게 발견하게 된다. 때로는 아이들의 스마트폰 사용기술이 부모를 능가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부모가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을 훈육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게 되기도 한다. 때문에, 최근 들어 아동 및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사용과 관련된 많은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중독증상뿐만 아니라 사이버와 관련된 폭력문제도 점점 심각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아이들은 스마트폰을 다양하게 사용하게 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분이 바로 SNS이다. 아이들은 주로 친구들.. 2023. 11. 26.
자기 원칙이 많은 아이의 원인, 대처방법 #1. 자기 원칙이 많은 아이 '반드시 ~ 해야만 해', '꼭 ~여야만 해' 등 자기만의 원칙이 강한 아이들이 있다. 이러한 아이들은 처음에는 한 두 개의 원칙에서 시작해서 그 원칙이 점점 늘어나서, 안 되는 것들이 점점 많아지게 된다. 아이들이 자신의 행동이나 말을 조절하고 상호작용에서의 규칙을 가지는 것은 결코 나쁜 것은 아니다. 이는 아이로 하여금 사회적 관계에서 좀 더 합리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게끔 만들어 주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자기 원칙이 지나치게 많아지고, 이것이 아이를 옥좨는 쇠사슬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되면, 아이는 틀에 갇혀서 융통성이 없고 완고한 사람이 되어버리게 된다. 시간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해요! 시간을 잘 지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시간을 잘 지키는 사람은 주변 사람.. 2023. 11. 16.
친구와의 갈등과 부모의 역할 #1. 친구와의 갈등 아이들은 종종 또래 친구들과 다투게 된다. 갈등의 원인은 정말 다양하다. 오해로 다투기도 하고, 경쟁심 때문에 싸우기도 하며, 개인적 신념이나 가치의 다름으로 인해 갈등을 경험하기도 한다. 흔히들 아이는 싸우면서 큰다고 하는데, 이러한 갈등의 경험들은 어떤 경우에는 아이를 성장시키는 중요한 경험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모든 다툼이 성장의 기회가 되지는 않는다. 어떤 다툼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기도 하는데, 친구 간의 다툼이 심리적으로 트라우마를 형성하기도 하고, 학교폭력 등의 심각한 결과로 인해 물리적인 피해를 입거나 입히기도 한다. 이러한 갈등이 단순히 친구 간의 다툼을 넘어서서 부모의 다툼으로 번지게 되고,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되기도 한다. 친구 간의 다툼으로 인해, 또래관.. 2023. 11. 12.
의존적인 아이: 의존성의 원인과 대처방법 #1. 의존적인 아이 아이가 영, 유아기 시절에는 혼자 하기 어려운 일들이 많기 때문에 부모나 어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아이가 충분히 스스로 할 수 있는 나이임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하지 않으려 하고 엄마, 아빠에게 대신해 달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면, 아이의 의존성에 대해 한번 고민을 해 보아야 한다. 엄마가 색칠해 줘~! 엄마가 대신 물어봐 줘~! 화장실 가도 돼요? 여기 빨간색으로 색칠해도 돼요? 의존적인 아이들은 조금만 어렵거나 귀찮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누군가가 대신해 주기를 원하고, 가장 의존하게 되는 부모에게 대신해 달라고 요청을 하게 된다. 또한, 의존적인 아이들은 충분히 스스로 결정하면 되는 사소한 일들까지도 시시콜콜 부모에게 물어보는 경우가 많다. 의존적인 아이들의 특.. 2023. 11. 11.
아이의 두 얼굴: 소시오패스 이해하기 #1. 두 얼굴의 아이 상담실에 아이와 함께 처음 방문하는 부모님들 중, 담임교사로부터 상담권유를 받고 오는 경우 집에서는 전혀 그렇지 않은데 학교에서의 다른 모습을 보인다는 사실에 적잖이 놀라거나 반신반의하면서 방문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집에서는 누구보다도 부모와 잘 지내고 대화도 잘하고, 밝은 모습을 보이며, 부모에게 걱정 한 번 안 끼치는 아이인데, 담임교사로부터 아이가 친구들과 갈등이 잦거나, 잘 사귀지 못하거나,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여 걱정이 된다는 말을 듣게 되면, 정말 우리 아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인가 믿어지지가 않는다. 그래서 심리검사를 진행하는 동안에도, 우리 아이는 전혀 문제가 없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가정에서와 학교에서, 또는 가정 외의 다른 조직이나 환경에서 전혀 다른 모.. 2023. 11. 8.
말대꾸 하는 아이: 원인과 훈육방법 안내 #1. 말대꾸하는 아이 부모가 자녀를 훈육하려 할 때 자녀가 말대꾸를 하게 되면, 부모는 자신의 말에 말대꾸하는 아이에 대해 화를 내게 된다. 보통 자녀가 말대꾸를 할 때는 반항하듯이, 부모의 말에 대응하여, 마치 부모의 권위에 도전하듯 말을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부모는 자녀의 이러한 태도를 불편하게 생각하게 되며, 대체로 화를 내며 아이를 혼내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아이의 말대꾸에 말문이 막히는 경험을 하게 되기도 한다. 그럴 때면, 부모는 자괴감이 들고, 의욕이 사라지며, 뭐라고 반박을 해야겠는데 도무니 할 말이 생각나지 않는 자신이 너무나 답답하게 여겨지기도 한다. 말대꾸하는 아이들은 일단 인정하지 않는 자세를 가진다. 자신의 행동이나 말, 태도에 대해 자신은 그런 적이 없다거나 혹은 그런 뜻이.. 2023. 11.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