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25 기질 이야기: 기질과 성격 #1. 기질은 변하지 않는가? 기질은 타고난 본래의 특성을 의미한다. 그렇게 때문에 기본적으로 기질은 변하지 않는다고 한다. 그렇다 보니 어떤 부모는 묻는다. 산만하고 충동적이며 신중하지 못한 기질을 타고난 아이는 계속 그런 모습으로 살아야만 하는가? 변하지 않는가? 그 질문에 대해 대답해 보자면 기질은 변하지 않지만 행동과 생각은 변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성격이다. 성격은 환경과 학습과 경험에 의해 변화되며 형성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타고난 기질이 산만하고 충동적이고 신중하지 못하다 할지라도 환경 및 경험에 의해, 그리고 학습에 의해 아이는 도전적이고 진취적이며 주변을 잘 살피는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자녀를 양육하고 돌봄에 있어서 자녀의 기질을 잘 살피는 것이 중.. 2023. 6. 12. 기질 이야기: 타고난 나(2) #1. 기질의 유형 특징 앞선 포스팅에서 기질에 대해 설명할 때 자극 추구와 위험회피,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과 관련하여 설명하였다. 이번에는 이를 좀 더 세분화하여 각 영역 간의 관계가 우리 아이의 기질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기질 이야기: 타고난 나(1) (tistory.com) 1) 자극추구↑, 위험회피↑ 자극에 대한 추구정도가 높고 위험회피에 대한 지수 역시 높은 사람은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이 많고 위험한 일에 대한 관심과 충동성을 가지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위험한 일에 대한 걱정과 불안으로 인해 섣불리 자신의 궁금증을 해결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내적갈등을 강하게 유발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기질을 가진 사람은 내적갈등을 많이 경험하고 이로.. 2023. 6. 11. 기질 이야기: 타고난 나(1) #1. 기질이란? 기질(temperament)은 타고난 기품과 성질로 사람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특성을 말한다. 기질은 성격과 구분해야 하는데, 기질은 유전적으로 타고나는 특성으로 자극에 대해 자동적으로 일어나는 반응 성향을 의미하며, 성격(Character)은 보다 덜 유전적이고 후천적으로 발달되는 편으로 환경의 영향을 받고 의식적으로 추구하는 목표 및 가치에서의 개인차를 가진다. 따라서 기질은 자녀가 본래 가지고 있는 자아의 고유 특성이라 할 수 있지만 성격은 그러한 기질에 외부환경 자극, 예를 들면 부모의 양육태도, 가정환경, 교육 및 경험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사람은 각자 고유의 기질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매우 그 기질을 다양한 모습을 나타낸다. 자녀가 어떤 기질.. 2023. 6. 10. 아동기의 발달심리: 도덕성 발달 #1. 아동기의 도덕성 발달 도덕성이란 인간관계 속에서 선·악·정·사를 구별하고 선행과 정의를 실천하려는 인간의 심성을 말한다. 도덕성은 인지적 측면(판단능력), 정의적 측면(좋아하고 싫어하는 감정 및 실천 의지), 행동적 측면(행위실천의 유무)이 있다. 콜버그(Kohlberg)는 다음의 이야기를 통해 도덕성의 발달단계를 6단계로 나눈다. 어떤 부인이 암으로 죽어가고 있었다. 부인을 구할 수 있는 것은 같은 마을에 사는 약제사가 최근에 발견한 리듐이라는 약뿐이다. 약제사는 2천달러를 요구했는데, 그 가격은 원가의 10배였다. 병든 부인의 남편은 돈을 빌리기 위해 모든 아는 사람을 찾아다녔다. 그러나 약값의 반밖에 구할 수 없었다. 그는 약제사에게 아내가 죽어가고 있으니 그 약을 싸게 팔든지 아니면 외상으.. 2023. 6. 8. 아동기의 발달심리: 정서발달 #1. 아동기의 정서발달 정서는 외부자극에 대한 개인의 의식적·무의식적인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의사소통의 기능을 가진다. 사람은 행복과 슬픔, 불안, 분노, 질투 등 다양한 정서를 경험하며, 이러한 정서의 표현은 어떻게 표현되는 가에 따라 상대방 혹은 자신이 인지하는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아동이 자신의 현재의 느낌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바로 정서표현이며, 이는 자신과 주변인과의 사회적 거리를 규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아동의 정서발달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자신과 세상 전반에 대한 긍정적인 느낌 갖기 자신의 느낌으로 인한 행동 통제하기 불안 대처하기 안전감 발달시키기 1) 정서유형 A. 애정 아동이 정상적인 발달을 위해서는 여러 필요조건들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 2023. 6. 7. 아동기의 발달심리: 사회성 발달 #1. 아동기의 사회성 발달 아동기에 요구되는 주된 사회성 발달의 이슈는 자아개념과 또래관계이다. 이 두 개념은 아동의 성장발달 및 이후의 청소년기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1) 자아개념 자아개념(自我槪念) 또는 자기 개념(Self-concept)은 사회적인 맥락 속에서 능력, 태도, 느낌을 포함한 자신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 개념을 말한다. 아동기에는 인지능력의 발달로 인해 사회적 활동범위가 확대되면서 아동이 자신을 표현할 때 ' 다른 친구가 나를 좋아해 또는 싫어해'라는 방식으로 자신의 특성을 또래와 비교하여 기술하게 된다. 또한 서로 간의 상반된 감정들을 이해함으로써 현실적이고 균형 잡힌 통합적 개념을 형성하게 되며, 비교적 비판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아동은 다른 사람의.. 2023. 6. 6. 이전 1 ··· 16 17 18 19 20 21 다음 반응형